본문 바로가기

고객센터

음원(반) 사재기 신고

목 적

  • 디지털 음원 시장의 공정성, 음반 유통질서 확립 및 창작기반 보호를 위해 음원(반)의 선호에 관한 정보를 왜곡하는 행위 근절을 위한 신고 창구 운영

신고대상

  • 음악산업진흥에 관한 법률 제 2조 제8호부터 제 11호까지의 규정에 따른 영업을 영위하는 자 또는 음반등의 [저작권법] 에 따른 저작자 및 저작인접권자(이하 ‘ 음반˙음악영상물관련업자등’ 이라 함) 가 다음의 행위를 한 경우
    • 음반˙음악영상물관련업자등이 제작˙수입 또는 유통하는 음반 등의 판매량을 올릴 목적으로 해당음반 등 *을 부당하게 구입하거나 관련된 자로 하여금 부당하게 구입하게 하는 행위
      • 음반,음악파일,음악영상물,음악영상파일을 의미함

처리절차

  • 1)음원(반)사재기 신고

    온라인 신청으로 신고접수
    • 신고인 : 누구나
    • 신고인이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콘텐츠공정상생센터에 신고
  • 2)사실관계 확인[콘텐츠공정상생센터]

    신고사항에 대한 기초 사실관계 확인
    • 관련 당사자 및 협.단체 등을 통한 사실관계확인
  • 3)신고사항에 대한 자료제출 조치 및 데이터 분석
    [문체부, 콘진원]

    온라인 음악서비스 사업자를 통한 관련자료 제출 조치(음악산업진흥에 과한 법률 제 26조 제3항)
  • 4)음원빅데이터 분석 검증 자문단 검토 및 의견제시
    [콘텐츠 공정상생센터]

    사실관계 확인을 통한 사재기 여부 검토 및 의견 제시
    • 검토 결과에 따른 행정조치 의견 마련
  • 5)문체부 보고 및 저작권 신탁 단체 통지

    문체부 보고 : 행정조치 (안)
    저작권신탁단체 :
    저작권 사용료 정산제외 여부 등 검토 요청
  • 6)(필요시) 검찰 경찰에 신고 고발

    신고건에 대한 행정 조치 결과에 따라 필요시
    수사기관에 고발

신청시 유의사항

  • 음원(반)사재기 신고서는 의심사항에 대한 사실관계를 명확하게 작성하여야 하며 가급적 관련 법령 위반 사항등을 입증할 수 있는 증빙 자료를 첨부하여야 합니다.
  • 신고내용이 불명확하고 증빙자료가 충분하지 않을 경우 신고사항에서 제외 될 수 있습니다.
  • 제출된 서류는 반환되지 않습니다.

신고서식 및 문의처

  • 신고서류 다운로드
  • 문의처
    • E-mail : fair@kocca.kr

신고하기

신고내역조회

*신고처리현황을 확인하시려면 신고 시 등록한 비밀번호 (숫자 4자-8자)를 입력해 주십시오.

※ 신고 후 접수 및 처리 등을 위하여 서류보완 요청이 있을 수 있습니다.
신고대상 및 처리절차, 유의사항 등을 확인하신 후 신고 부탁드립니다. 익명신고시스템은 신고처리과정에서 익명성 보호를 최우선으로 고려합니다. 이에 따라, 제3자에 의한 제보자 신원 추정방지를 위하여 신고처리기간, 조사대상, 범위 등을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담당부서공정상생센터 담당자조재민 문의전화02-2016-4143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