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홍보소통

보도자료

‘국가별 게임산업 전략 차별화로 글로벌 주도권 경쟁 심화’ 콘진원, <글로벌 게임산업 생태계 분석> 보고서 발간

‘국가별 게임산업 전략 차별화로 글로벌 주도권 경쟁 심화’
콘진원, <글로벌 게임산업 생태계 분석> 보고서 발간

- 일본, 중국, 미국, 브라질, 태국 등 5개국의 게임산업 정책 및 육성 전략 분석
- 주요국, 게임산업 주도권 확보를 위한 차별화된 강력한 정책 추진 및 지원 확대
- 국내 게임산업의 성장 위해 해외 판로 개척 지원 및 글로벌 네트워크 강화 필요

  • 한국콘텐츠진흥원(원장직무대행 유현석, 이하 콘진원)은 글로벌 주요국의 게임산업 육성 정책을 분석한 <글로벌 게임산업 생태계 분석과 국가별 육성 전략> 단기 현안 보고서를 10월 29일 발간했다.
  • 이번 보고서에서 분석한 국가는 ▲일본 ▲중국 ▲미국 ▲브라질 ▲태국 등 글로벌 게임산업 주요국 5개국으로, 각국의 게임산업이 국가별 경제 성장의 핵심 동력으로 부상하는 과정에서 정부가 어떤 지원 정책을 채택했는지 분석해 국내 게임산업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 5개 주요국, 게임산업을 경제 성장 및 기술 혁신 위한 핵심 산업으로 설정

  •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글로벌 게임산업이 급격히 성장하는 가운데 각국은 게임산업 육성을 위한 경쟁에 돌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임산업은 단순한 오락 산업을 넘어, 디지털 경제와 소프트파워 강화를 위한 핵심 산업으로 자리 잡았으며, 오는 2027년까지 3,631억 달러(*한화 약 502조 원) 규모로 성장이 예상된다. (*환율 1,383.5원 기준으로 환산)
  • 이에 주요 국가들은 게임산업을 자국 경제 성장과 기술 혁신을 촉진하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고, 적극적인 지원 정책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 나서고 있다.

◆ 게임산업 육성 및 글로벌 주도권 확보 위해 국가별 차별화된 정책 전환 시행

  • 각국은 게임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차별화된 전략을 시행 중이다. ▲일본은 자율경쟁에서 정부 주도 성장 지원으로 정책을 전환하고, 인디 게임 개발자 육성과 해외 진출 지원에 주력하고 있다. ▲중국은 게임을 규제 산업에서 소프트파워 강화산업으로 재인식하고, e스포츠와 게임 개발에 대한 지원을 확대 중이다.
  • ▲미국은 민간 자금조달을 중심으로 게임산업 성장을 유도하며, ▲브라질은 혁신 기술과 게임산업을 동일시하는 정책을 바탕으로 세금 감면 및 공공지원을 시작했다. ▲태국은 가장 적극적인 정부 주도의 게임산업 육성 정책을 펼치며, 자금 지원과 글로벌 협력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 국내 게임산업, 글로벌 영향력 및 네트워크 강화를 위한 전략적 지원 필요

  • 보고서에는 각국의 정책 분석을 바탕으로 국내 게임산업의 발전을 위한 전략 과제를 제안했다. ▲글로벌 영향력 강화 및 해외 진출 판로 개척 지원 ▲자금조달 및 지원 프로그램 간 균형 있는 운영 ▲신기술과 신사업에 대한 투자 확대 ▲국제 리더십 강화를 통한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등이다.
  • 보다 자세한 연구결과는 콘진원 누리집(www.kocca.kr) 내 코카포커스 <글로벌 게임산업 생태계 분석과 국가별 육성 전략>에서 확인할 수 있다.

사진 1. <글로벌 게임산업 생태계 분석과 국가별 육성 전략> 표지

사진 1. <글로벌 게임산업 생태계 분석과 국가별 육성 전략> 표지

사진 2. <글로벌 게임산업 생태계 분석과 국가별 육성 전략> 부록

사진 2. <글로벌 게임산업 생태계 분석과 국가별 육성 전략> 부록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제1유형:출처표시) 마크 이미지 / 상업적이용과 변경허용 붙임1. <글로벌 게임산업 생태계 분석과 국가별 육성 전략> 표지
붙임2. <글로벌 게임산업 생태계 분석과 국가별 육성 전략> 부록

담당부서소통홍보팀 담당자강원훈 문의전화061-900-6361
출처표시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