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ELCON

게임산업 중장기계획(2003년 ~ 2007년)
  • 분야일반
  • 장르게임
  • 등록일2010-05-02
  • 조회12136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 가능 한국저작권위원회가 창작한 저작권 통계 이용 활성화를 위한 통계 컨설팅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지난 2003년 11월 12일에 문화관광부에서 발표한 게임산업 중장기계획입니다.>

 

문화관광부는 오는 2007년까지 국내의 게임시장 규모를 10조원으로 끌어올려 ' 세계 3대 게임산업 강국'에 진입하겠다는 청사진을 밝혔다.
이를 통해 고용인력 10만명 창출, 해외수출 10억달러(1조1천700억원) 달성, 세계시장 점유율 5% 확보 등을 이끌어낸다는 방침이다.

문화관광부는 12일 한국게임산업개발원에서 이창동 장관 주재로 게임산업 정책 간담회를 열고 세계 3대 게임강국 실현을 위한 중장기계획을 발표했다.

이를 위해 ▲게임산업 기초인프라 강화 ▲해외진출 역량 강화 ▲게임문화 인식 제고 ▲게임전문인력 양성기반 확대 ▲차세대 게임응용기술 개발환경 조성 ▲ 법·제도 개선 등 6대 중점과제를 제시했다.

문광부는 특히 게임중독, 온라인게임 아이템 불법거래 등 역기능을 예방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게임업계와의 정책협의, 중독 예방·치료 프로그램, 상담클리닉을 추진하며 법·제도 개선도 병행하기로 했다.

특히 기존의 '음반·비디오물 및 게임물에 관한 법률'을 개정하고 게임산업 환경변화에 맞는 '게임산업진흥법'도 제정할 계획이다.

게임업계도 이러한 분위기를 감안해 규제시스템을 자율적으로 마련할 수 있도록'자율등급제 도입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외에 민간 중심의 정책 수립 및 평가체계 강화 차원에서 업계·학계 중심의 게임산업정책자문협의회를 구성하고 사이버 정책토론방도 설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문광부는 국산 온라인·모바일 게임이 세계적 경쟁력을 갖고 있는 상황에서 '세계적 수준의 게임전시회'를 개최하며 현재의 WCG(월드사이버게임즈)가 게임올림픽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조직위원회를 구성, 국가간의 협력을 이끌어낼 방침이다.

또 가족이 함께 하는 e-스포츠를 활성화하기 위해 ▲e-스포츠 대회 개최 ▲게임동아리 활동 지원 ▲e-스포츠 전용경기장 건립을 추진하는 것은 물론 게임문화진흥협회를 설립해 다양한 참여프로그램도 대폭 확충하기로 했다.

이외에도 게임 전문인력의 해외연수 프로그램, 업계 전문가 단기교류 프로그램을 신설하고 해외 유명 교육기관과의 협력프로그램도 확대해 고급인력을 체계적으로 양성하기로 했다.

 

                <목 차>

Ⅰ. 추진배경

Ⅱ. 게임산업 동향
   1. 게임산업의 특징과 유형
   2. 게임산업의 위상
   3. 세계 게임시장 동향과 전망
   4. 국내 게임시장 동향과 전망

Ⅲ. 정책추진성과 및 문제점

Ⅳ. 정책비전 및 목표
   1. 정책비전 및 목표
   2. 추진체계도

Ⅴ. 6대 중점추진과제
   1. 게임산업 기초인프라 강화
   2. 해외진출 역량강화
   3. 게임문화 인식제고 및 저변확대
   4. 게임 전문인력 양성기반 확대
   5. 차세대 게임응용기술 개발환경 조성
   6. 법·제도 개선

Ⅵ. 소요예산(안)

※ 참고자료 : 주요 게임산업 통계
    1. 국내 게임산업 현황
    2. 해외 게임산업 현황
    3. 청소년 게임이용 현황
    4. 대한민국 게임대상 수상작품
    5. 게임관련 유관기관 현황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pdf)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