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ELCON

[KOCCA포커스 2014-13호] 중국 콘텐츠산업의 성장과 대응 전략 (게임)
  • 분야일반
  • 장르게임,일반
  • 등록일2014-12-31
  • 조회77263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 가능 한국저작권위원회가 창작한 저작권 통계 이용 활성화를 위한 통계 컨설팅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중국 콘텐츠산업의 성장과 대응 전략> 시리즈 발간

  최근 중국 콘텐츠산업에 대한 인식이 바뀌고 있다. 한류 열풍의 발원지로서 국내 콘텐츠기업의 전략적 타깃 시장에서 국내 콘텐츠시장을 위협하는 대항마로 급부상하고 있다. 이는 거대 중국 자본이 단순한 투자와 합작을 넘어 국내 콘텐츠기업을 인수하는 형태로 나타나기 시작했다. 중국의 영상콘텐츠 기획 제작사인 ‘주나인터내셔날’은 드라마 <올인>과 <주몽> 등을 제작해 한류 열풍을 견인해 온 국내 대형 제작사 ‘초록뱀 미디어’를 인수했으며, 중국 최대 게임사인 ‘텐센트’는 국내 모바일 게임회사인 ‘네시삼십삼분’을 비롯해서 ‘넷마블게임즈’ 등 국내 게임사에 7,000억 원 이상의 대형 투자를 했다. 중국 정부도 콘텐츠기업 및 투자자 육성을 추진하고 있으며, 중국 금융권 역시 콘텐츠기업에 대한 재정적 투자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이와 함께 외산 콘텐츠에 대한 진입규제를 강화하면서 자국 콘텐츠산업을 보호하기 시작했다. 이에 중국시장 진출을 모색하고 있는 국내 콘텐츠기업들은 중국의 규제 장벽에 대응하면서 수출과 현지투자 등을 확대할 수 있는 새로운 전략적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은 <중국 콘텐츠산업의 성장과 대응 전략>이라는 타이틀 아래, 방송과 게임, 음악, 캐릭터, 애니메이션 등 5개 주요 장르에 대해, 2015년 1월까지 2회에 걸쳐 발간한다. 중국 콘텐츠시장의 환경 변화와 국내 콘텐츠시장에 미치는 위협 요인, 국내 콘텐츠기업의 중국 진출 방안 등을 조명하는 기획 시리즈로 구성했다. 주요 내용은 각 장르별로 ▲중국 콘텐츠산업의 성장, ▲중국 콘텐츠산업의 국내 진출 현황, ▲중국 콘텐츠산업의 성장이 국내 콘텐츠산업에 미치는 영향, ▲국내 콘텐츠기업의 중국 진출 방안 등이다.

 

중국 콘텐츠산업의 성장과 대응 전략 (게임)

 

요약

 

Ⅰ. 중국 게임산업 현황
● 중국 게임산업의 성장에 가장 큰 기반이 되는 것은 중국 내 게임 이용자 수의 지속적인 증가임
● 2 013년 기준으로 중국 게임 이용자 수는 5억 명에 근접하여 단일 국가 규모로는 세계에서 가장 큰 시장을
형성했으며, 특히 최근에는 모바일게임 이용자의 수가 급증하고 있음
● 중국 게임산업 규모는 2009년부터 2013년까지 25% 이상의 성장률을 유지했으며 2013년 규모는 한화로
약 15조 원 수준에 도달
● 중국 게임산업에서는 온라인게임(클라이언트게임)의 비중이 가장 높지만 성장세는 다소 완화되고 있음. 반
면 모바일게임은 최근 폭발적으로 규모가 증가하며 중국 게임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 또한 커지고 있음
● 중국 게임산업 전체를 기준으로 할 때, 중국산 게임이 차지하는 비중은 60% 정도를 유지해 왔음. 하지만 모
바일게임 부문에서는 중국산 게임이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비중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전망됨
Ⅱ. 중국 게임산업 특징
● 중국 게임산업은 최근 몇 년 동안 높은 성장세를 유지해 왔고, 이러한 경향은 앞으로도 당분간 지속될 것
으로 예측됨. 이를 가능하게 하는 몇 가지 요인이 있음
● 환경적 요인으로는 1) 현재 중국의 게임산업에서는 발전을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인프라들이 조성되어 있
다는 점, 2) 국가가 게임산업의 발전을 위해 정책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음
● 산업 내부의 요인들로는 1) 중국에서 구매력이 큰 게임 이용자의 수가 증가해 왔고 앞으로도 이러한 경향
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는 점, 2) 모바일게임으로 중국 게임산업의 무게 중심이 이동하면서 진입 장벽이
낮아지고 있다는 점, 3) 중국 게임산업으로 자본 투자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 등을 들 수 있음
● 이상의 요인들이 작용하여 중국의 게임산업은 향후에도 성장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됨
Ⅲ. 중국 게임의 한국 진출 현황
● 한국 게임시장이 온라인게임(클라이언트게임)을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던 시기에는 중국에서 개발된 게임
이 한국에서 큰 반향을 얻지 못했음
● 하지만 한국과 중국 모두에서 게임산업의 중심이 모바일게임 부문으로 전환되고 있으며, 이 시기부터 모
바일게임을 중심으로 중국 게임들의 한국 진출이 활성화되었음
● 한국에 진출하는 중국 게임들은 주로 중국 내에서의 성과를 통해 게임성을 검증하며, 축적된 자본력을 기
반으로 대규모의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경우가 많음
● 중국산 게임들의 질적 수준은 전반적으로 상향평준화되고 있으며, 특히 모바일게임 부문에서는 한국의
모바일게임들과 품질 면에서도 큰 차이가 없는 경우들이 많아졌음. 특정 부분에서는 한국을 앞서고 있다
고 평가할 수 있는 게임들도 개발되고 있어, 중국산 게임의 한국 진출은 한국 게임산업에 위협 요소가 될
수 있음
Ⅳ. 한국 게임의 중국 시장 공략을 위한 제언
● 이제까지 중국에서 좋은 성과를 거두어 왔던 한국의 온라인게임 부문은 점차 대작 게임의 개발로 집중되
고 있어, 개발에 대단위의 자본, 고급 인력, 오랜 기간이 투입되는 경우가 많음. 이는 중소 게임업체에서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임
● 또한 한국과 중국의 게임산업이 공히 모바일게임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어 모바일게임 부문에서 새로운 기
회를 얻을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 중국 모바일게임 마켓들 중에서 가장 비중이 높은 것은 안드로이드 마켓이지만 구글 플레이를 통한 정식
서비스가 시행되지 않아 수많은 로컬 마켓들로 파편화되어 있음. 따라서 파편화된 다수 시장에 대한 대응
역량을 갖추어야 함
● 애플 앱스토어의 경우는 구매력이 높고 오피니언 리더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는 계층이 많이 이용함. 따라
서 전체적인 이용 비중이 높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영향력을 발휘하고 였으며, 이에 대한 빠른 대응
역량을 갖추어야 함
● 이전에 한국의 온라인게임이 중국에서 많은 인기를 얻은 바 있기 때문에 중국의 게임 이용자들은 아직 한
국의 게임들에 익숙함. 하지만 다른 한 편으로 중국 게임만의 특성과 강점 또한 형성되고 있는 상황임
● 때문에 중국에 진출하고자 하는 게임 기업에게는 중국 게임 이용자들의 이용 습관, 선호하는 요소 등에 대
한 파악과 이를 활용하는 현지화 작업이 꼭 필요함. 이것이 치밀하게 체계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성공의 가
능성이 높아짐
● 정책적으로는 중국의 다양한 마켓들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지원, 또한 중국 현지 파트너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지원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음. 이를 통해 중국 파트너와 신뢰 관계를 형성할 필요가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