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ELCON

[KOCCA포커스 2014-08호] 세계 주요국의 콘텐츠산업 분류체계와 통계조사 현황
  • 분야일반
  • 장르콘텐츠솔루션
  • 등록일2014-10-14
  • 조회45424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 가능 한국저작권위원회가 창작한 저작권 통계 이용 활성화를 위한 통계 컨설팅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세계 주요국의 콘텐츠산업 분류체계와 통계조사 현황 / 작성 : 이현우 정책연구실 산업정보팀 선임연구원 (estocada@kocca.kr), 유은영 정책연구실 산업정보팀 주임연구원 (eyyoo@kocca.kr), 강중구 정책연구실 산업정보팀 주임연구원 (kjunggoo@kocca.kr), 박영일 영국사무소 소장 (yppy01@kocca.kr), 이미지 / 중국사무소 주임연구원 (image@kocca.kr) / 2014.10.15. 2014-08호(통권 85호) / 1. 문제제기 2. 글로벌 통계조사 현황 3. 주요국 사례분석 4. 시사점

 

 세계 주요국의 콘텐츠산업 분류체계와 통계조사 현황

 

이현우 / 정책연구실 산업정보팀 선임연구원 (estocada@kocca.kr)

유은영 / 정책연구실 산업정보팀 주임연구원 (eyyoo@kocca.kr)

강중구 / 정책연구실 산업정보팀 주임연구원 (kjunggoo@kocca.kr)

박영일 / 영국사무소 소장 (yppy01@kocca.kr)

이미지 / 중국사무소 주임연구원 (image@kocca.kr) 

 

 

< 요약 >

 

Ⅰ. 문제제기
  ● 지식기반 경제에서 콘텐츠산업의 사회경제적 가치가 확대되면서, 세계 각국에서는 콘텐츠산업 분류체계를 정비하고

      통계조사를 실시하고 있음
  ● 콘텐츠산업에 대한 정의와 분류체계는 해당 국가의 산업구조, 발전경로 및 구조적 특성, 정책추진 방향과 밀접한

      상관성을 지님
  ● 따라서 세계 주요 국가별 콘텐츠산업 범위와 관련기관, 통계조사 방식을 조사하고, 이를 통해 한국과의 공통점과

      차이점, 그리고 시사점을 확인할 필요가 있음


Ⅱ. 글로벌 통계조사 현황
  ● 주요국들은 자국 상황에 맞추어 주요 산업을 중심으로 분류기준을 제시하고 진흥정책을 추진하고 있음. 진행방식과 

      주무부처, 통계조사 담당기관 또한 각기 다르기에 일률적인 기준으로 종합하기는 쉽지 않음
  ● 콘텐츠산업과 관련한 글로벌 통계조사는 게임, 방송, 음악, 광고, 영화 등 각 산업별로 전문성을 지닌 조사기관 및

      리서치회사에 의해 이뤄지는 것이 보통임. 그리고 이들 기관 역시 통계조사를 직접 실시하기보다는 세계 각국의

      정보원을 통해 통계자료를 확보하여 규모를 추정하고 있음
  ● KOCCA에서는 글로벌 리서치회사의 리포트와 국가별 통계조사 자료를 토대로 국내 통계조사 보다는 간소화된 분류

      기준으로 세계 콘텐츠 시장규모를 추정하고 있음

 

※ 자세한 내용은 첨부(PDF)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