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ELCON

[KOCCA포커스 2014-06호] 지역콘텐츠를 글로컬콘텐츠로
  • 분야일반
  • 장르콘텐츠솔루션
  • 등록일2014-08-28
  • 조회30708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 가능 한국저작권위원회가 창작한 저작권 통계 이용 활성화를 위한 통계 컨설팅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지역콘텐츠를 글로벌 콘텐츠로 / 작성 : 권호영 정책연구실 산업정보팀 수석연구원(hykwon@kocca.kr ) / 2014.08.30. / 2014-06호(통권 83호) / 1. 글로벌 콘텐츠란? 2. 글로벌 콘텐츠의 성공사례와 실패사례 3. 한국문화 콘텐츠의 세계화 방안 4. 지역문화 콘텐츠를 활용한 글로벌 콘텐츠 제작  

 

 지역콘텐츠를 글로컬 콘텐츠로

 

권호영 / 정책연구실 산업정보팀 수석연구원

요약

 

● 이 글의 핵심 내용
  - 한국 콘텐츠의 해외 진출을 확대하기 위해서 글로컬 콘텐츠의 시각이 필요
  - 한국 콘텐츠의 세계화를 위해서는 다음의 네 가지를 구비해야(김영재, 2011)
   ① 한국적인 비주얼 이미지나 소재
   ② 세계인이 공감할 수 있는 스토리
   ③ 완성도 높은 작품을 제작을 위한 정교한 제작시스템
   ④ 제작에 필요한 재원을 확보하고 안정된 마케팅을 위한 안정된 사업구조
  - 위의 4가지 방법을 쉽게 갖추는 방안은 지역콘텐츠 기업과 수도권(또는 해외) 콘텐츠 기업간의 협업


● 글로컬 콘텐츠는
  - 로컬문화가 글로벌화된 콘텐츠
  - 로컬문화콘텐츠와 글로벌 문화콘텐츠가 잘 혼융된 새로운 형태의 문화콘텐츠


● 글로컬 콘텐츠의 성공사례
  - ‘대장금’, ‘아스테릭스’, ‘마살라무비’, ‘해리포터’, ‘오페라의 유령’ 등


● 글로컬 콘텐츠의 실패사례
  - ‘접지전사’ : 이상적인 사업구조를 갖추었지만 제작시스템의 취약으로 실패
  - ‘댄싱섀도우; : 해외 유명 제작진이 참여하였으나 한국적인 정서를 버려 실패
  - ‘라스트갓파더’ : 소재와 장르의 보편성을 갖추었지만, 한국식 유머와 캐릭터로 실패


● 한국적인 특수성과 세계적인 보편성이 융합된 글로컬 콘텐츠 제작
  - 문화적 자긍심을 가지고 콘텐츠를 제작하거나 수용해야
  - 가장 한국적인 콘텐츠를 생산해내려는 노력을 해야
  - 한국적인 문화 특수성과 세계적인 문화보편성의 상호융합속에서 독자적인 한국문화콘텐츠를 창조해야
  - 우리의 문화상품의 소비하게 될 국가의 문화코드를 분석해야


● 한국 문화콘텐츠의 세계화 방법론(김영재, 2011)
  - 한국적 특색을 비주얼 이미지나 소재를 통해 제시
  - 세계인이 공감할 수 있는 이야기를 만들어야
  - 경쟁력있는 제작시스템을 갖추어야
  - 원활한 재원 조달, 위험의 최소화, 판로 확보등의 사업 구조를 갖추어야


● 지역문화 콘텐츠를 활용한 글로컬 콘텐츠 제작
  - 한국적인 비주얼 이미지와 소재는 지역에 산재해 있음
  - 과제는 한국적인 비주얼 이미지와 소재를 세계인이 공감할 수 있는 스토리텔링으로 만드는 것임
  - 지역콘텐츠 기업과 수도권(또는 해외) 콘텐츠 기업간의 제휴와 협업을 통해 글로컬 콘텐츠 제작

  

자세한 내용은 첨부(PDF)화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