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콘텐츠지식

KOCCA 포커스

[KOCCA포커스 2014-03호]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 분야일반
  • 장르콘텐츠솔루션
  • 등록일2014-07-15
  • 조회25240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 가능 한국저작권위원회가 창작한 저작권 통계 이용 활성화를 위한 통계 컨설팅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 작성 : 유지연(Private Curve 기획실장, yoojiyun@hotmail.com), 이익주(정책연구실 산업정책팀 주임연구원(ijlee@kocca.kr) / 2014.7.15 2014-3호(통권 80호) /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영국 음악 산업계 현황 3.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4. 영국 음악 주요 정책 현안 5. 시사점 및 제언  


영국 음악 산업의 비지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유지연 / Private Curve 기획실장

이익주 / 정책연구실 산업정책팀 주임연구원



요약


1. 영국 음악 산업계 현황
● 음악 산업의 디지털화
- 영국은 타 유럽 국가들보다 빠르게 디지털화에 적응해나가며, 다양한 음악 온라인 서비스 운영
- 2012년 디지털 앨범 판매 수입의 피지컬 앨범 판매 수입 추월
● 스트리밍 서비스와 앨범 다운로드의 강세
- 영국 음악 산업 중 2013년 스트리밍 판매 수입의 전년대비 41% 증가
- 영국 음악 산업 총 수입의 약 50%를 디지털 음악 수입이 차지하며 음악 산업의 중심 개편
- 2013년 디지털 앨범 다운로드 판매수입은 전년대비 19.5% 증가
● 앨범 포맷 형태 와 음악 출판 산업계 수익채널의 다변화
- 피지컬 포맷의 수입은 감소(6.4%)하였으나, 피지컬 포맷 중 LP 판매수입 증가
- 음악 출판업의 다른 소스와의 협력을 통해 수익 채널 다변화 도모
● 라이브 음악 시장 강세
- 라이브 음악 시장의 성장으로 인해, 불법 음악 유통으로 발생한 수입 감소 타격 상쇄
- 2009년부터 라이브 음악 시장의 가치가 레코딩 산업을 넘어서는 추이 보임
- 라이브 티켓의 온라인 판매가 약 90%를 차지
- 주요 도시 기반의 지역 라이브 밴드 구성 및 공연 활성
- 올림픽과 과잉공급으로 인한 페스티벌 수요 감소에 대해 관객 지향적인 새로운 형태의 페스티벌 추구

 

2.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 영국 비즈니스 모델 구조
- 영국 음악 산업 구조는 다수의 플레이어가 복잡히 연결되어있으나, 음반 산업과 라이브 음악 산업으로 구분

 

3. 영국 음악 주요 정책 현안
● 라이브 음악 정책
- UK Music이 구성되며 라이브 음악 시장 조직 통합 시도
- 2차 티켓 판매에 관한 규제 정책 논의
- 라이브 공연법 2012 시행과 추가 규제 완화에 대한 논의
● 디지털 음악 정책
- BPI, IFPI, NFIB 및 런던 경찰과의 협업을 통한 불법사이트 결제진행 금지방침과 광고업자들의 불법사이트에서의 홍보 금지

   협조
- 정부의 강한 입장 및 개입 필요 여론 제기
● 디지털 경제법 2010
- 온라인 저작권 침해를 줄이기 위한 시스템 및 기술적 제재에 대한 기준 수립
- 개인의 인터넷 상에서의 자유 침해 등에 대한 반대 논란 직면

 

4. 시사점 및 제언
● 새로운 시장 환경 변화가 반영되는 전략적 접근 필요
- 급변하는 음악 산업 비즈니스 환경 변화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정책적 전략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새로운 시장 환경

   변화가 반영된 접근 필요
● 라이브 산업 육성·강화 방안 필요
- 공연관련 규제 완화를 통해 창작자와 뮤지션들이 창조경제에 공헌할 수 있는 기회 제공
● 음악 산업의 대표자 역할 및 리서치 강화
- 정치적·경제적으로 음악 산업의 목소리를 대변할 수 있는 통합 조직의 효율적 구성 및 운영 필요
- 음악 산업의 잠재적 비즈니스 기회를 파악할 수 있는 데이터 축적과 타 산업과 연계된 리서치 필요




※ 자세한 내용은 첨부(PDF)화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담당부서미래정책팀 담당자박수진 문의전화061-900-6576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