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콘텐츠지식

KOCCA 포커스

[KOCCA포커스 2014-02호] 웹툰산업의 구조적 문제점과 개선방안
  • 분야일반
  • 장르콘텐츠솔루션
  • 등록일2014-06-27
  • 조회33101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 가능 한국저작권위원회가 창작한 저작권 통계 이용 활성화를 위한 통계 컨설팅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웹툰산업의 구조적 문제점과 개선방안 - 웹툰 대형포털 플랫폼 유통구조를 중심으로- Ⅰ. 웹툰산업 현황Ⅱ. 웹툰산업의 구조적 특징
Ⅲ. 유통 구조 측면의 문제점
Ⅳ. 관련 지원정책
Ⅴ. 향후 개선방안  


웹툰산업의 구조적 문제점과 개선방안



박석환 / 만화평론가, 한국영상대학교 교수

박현아 / 정책연구실 산업정책팀 주임연구원



요약


I. 웹툰산업 현황
● 1990년대 중후반 인터넷과 인터넷PC의 대중화, 아날로그 콘텐츠의 디지털화, 오프라인 콘텐츠의 온라인화 과정을 거치면서

    다양한 유형의 디지털만화 등장
● 초기 형태의 웹툰은 간략한 칸만화의 형식으로 무명의 네티즌들에 의해 창작되어 개인 홈페이지, 인터넷 카페, 유명 사이트 게시

    판 등을 통해 전파
● 현재 인터넷에 게재되어 있는 웹툰은 약 1천 2백 편 이상(2014년 5월 24일 기준)
● 양대 포털로 대표되는 네이버와 다음의 웹툰 사용자 수는 월 630만 명, 페이지뷰는 9억 회(코리안클릭 2014년 2월 기준)


II. 웹툰산업의 구조적 특징
● 만화의 가치사슬에서 만화콘텐츠가 제작되어 가장 먼저 유통되는 1차 시장인 출판시장이 디지털 플랫폼으로 대체됨
● 웹툰은 포털의 플랫폼 전략을 중심으로 유통되며 콘텐츠제공자와 사용자, 광고주, 라이센시 등 그룹의 상호작용을 통해 상호

    이익을 강화
● 포털 웹툰의 생산량과 사용자 기반은 웹툰산업을 2차 콘텐츠 생산을 중심으로 한 라이센스 산업으로 발전시키고 있고 다양한

    연관산업 효과로 이어지고 있음


III. 유통 구조 측면의 문제점
● 포털의 플랫폼 전략은 모든 것이 포털 플랫폼을 중심으로 작동되도록 만드는 부정적 측면 내포
● 웹툰의 원고료가 하향평준화 되고 인큐베이팅 코너에 연재하는 창작자들에게 ‘무임금 희망노동’을 유도
● 웹툰이 사용자에게 무료로 제공됨에 따라 전통적인 만화시장의 경쟁 요인을 와해시키고 포털이 만화 콘텐츠를 독점
● 실시간으로 연재되는 특성상 유해콘텐츠가 여과없이 업로드되고 인터넷 상에서 주간 단위로 구독 할 수 있는 정식 연재 웹툰

    600편 이상으로 ‘과도생산체제’의 도래를 검토해야 하는 상황




※ 자세한 내용은 첨부(PDF)화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담당부서미래정책팀 담당자박수진 문의전화061-900-6576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