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ELCON

[KOCCA포커스 2013-10호] 한-중 FTA와 콘텐츠산업 주요 쟁점
  • 분야일반
  • 장르일반
  • 등록일2014-01-02
  • 조회26368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 가능 한국저작권위원회가 창작한 저작권 통계 이용 활성화를 위한 통계 컨설팅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한중 FTA와 콘텐츠산업 주요쟁점,1.서론,2.중국시장 개방 현황,3.중국의 콘텐츠산업 규제 현황,4.한중 FTA 주요 쟁점 및 정책대응방향, 작성:정미경/미래전략팀 책임연구원(cmk@kocca.kr)


한-중 FTA와 콘텐츠산업 주요 쟁점


정미경 / 미래전략팀 책임연구원



요 약


1) 서론


 ○ 중국 콘텐츠 시장의 중요성

  - 중국 콘텐츠 시장은 세계 콘텐츠시장 매출 규모 3위를 차지하고 향후 중국경제와 콘텐츠산업은 지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2006년 이후 우리나라의 대중국 콘텐츠 수출은 꾸준히 증가, 2011년 중국지역 (홍콩 포함)으로 수출비중은 27.0%로 일본
     (30.1%) 다음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그러나 높은 진입장벽으로 중국시장 진출에 어려움이 있어, 현재 진행중인 한중 FTA에 대한 콘텐츠업계의

     기대가 높으며, 이를 통한 중국시장 진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음


 ○ 중국의 시장개방 현황과 콘텐츠산업 장르별 규제현황을 통해 한중 FTA에서 콘텐츠분야에서의 이슈와 중국시장 진출을
     위한 대응 방안을 살펴보고자 함



2) 콘텐츠분야 중국 시장 개방 현황 및 콘텐츠산업 장르별 규제현황


 ○ 중국시장 개방현황

  - 인쇄 포장인쇄물 일부 양허, 영화제작 및 배급서비스 대다수 FTA에서 미개방, 비디오배급, 음반배급 서비스는 모드 1,2에
     대해 제한 없이 개방, 영화 극장서비스에 한해 모드 1, 2를 제한 없이 개방, 모드 3MA에 대해 49%이하 지분 허용, 엔터테인
     먼트의 경우 완전 미개방




※ 자세한 내용은 첨부(PDF)화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