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ELCON

[KOCCA포커스 2012-01호] 콘텐츠산업의 고용효과 분석과 고용정책 방향
  • 분야일반
  • 장르일반
  • 등록일2012-03-26
  • 조회16932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 가능 한국저작권위원회가 창작한 저작권 통계 이용 활성화를 위한 통계 컨설팅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KOCCA포커스 2012-01호] 콘텐츠산업의 고용효과 분석과 고용정책 방향 표지

 

 

 

콘텐츠산업의 고용효과 분석과 고용정책 방향

 

 

 

 

 

강 익 희 / 한국콘텐츠진흥원 수석연구원

 

 

 

 

 

요  약

 

 

□ 문제제기
○ 저고용·고실업 문제의 해결방안으로 창의산업의 고용창출 능력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어왔음
○ 글로벌 경제위기 후, 창의산업의 고용창출 능력에 대한 재검토가 이루어지면서 우리나라 콘텐츠산업의 고용관련 영향력을

    다양한 자료를 통해 살펴보고, 적절한 고용정책 방안 마련을 위한 방향을 모색

 


□ 창의산업의 경제적 기여에 대한 논의
○ 경기침체 이전, 창의산업은 경제성장을 이끄는 특별한 부문(special sector)로서의 역할을 수행. 이는 창의산업에 대한 성장

    모형(growth model)을 지지
○ 경기침체 이후, 창의산업을 대표하는 영국과 미국에서 창의인력의 고용규모가 감소함으로써 성장모형에 대한 ‘창의적 폐쇄

    현상(creative block)’이 나타남

 


□ 우리나라 국내 콘텐츠산업의 고용현황과 고용효과의 분석
○ 2010년 말 현재 약 58만 명으로 전체 취업자의 2.4% 수준. 이는 부동산 및 임대업보다는 크고, 제조업의 15% 정도임. 콘텐츠

    산업 고용인력은 정체되거나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향후 전망은 낙관적
○ 콘텐츠산업의 전체적 수준에서는 고용성장이 정체하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세부장르별로는 편차를 보이고 있음. 성장형,

    하락형 등으로 구분 가능
○ 콘텐츠산업의 고용탄성치를 살펴보면 제조업에 비해서는 높고, 전체 서비스업보다는 낮음. 하지만 성장형 콘텐츠 장르의

    경우는 고용여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콘텐츠산업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책 제언
○ 전체보다는 장르별로 특화된 고용정책을 수립해야 함
○ 창의노동의 질을 제고하여 ‘좋은 일(decent work)’로 만드는 정책적 노력 필요
○ 시급한 현안인 고학력 청년실업 해소에 정책적 우선순위를 두어야 함
○ 콘텐츠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소규모기업 및 중견기업의 육성 중요

 

 

 

 

※ 자세한 내용은 첨부(PDF)화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