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ELCON

[KOCCA포커스 2011-16호] 문화콘텐츠 산업의 노동생산성 분석
  • 분야일반
  • 장르일반
  • 등록일2011-12-08
  • 조회17472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 가능 한국저작권위원회가 창작한 저작권 통계 이용 활성화를 위한 통계 컨설팅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KOCCA포커스 2011-16호] 문화콘텐츠 산업의 노동생산성 분석 표지

 

 

문화콘텐츠 산업의 노동생산성 분석

 

 

 

 

권호영 / 한국콘텐츠진흥원 수석연구원

 

 

 

요 약


□ 이 글의 구성과 취지


○ 경제가 발전하면서 서비스 산업의 비중이 증대하고 있지만, 서비스 산업의 낮은 노동생산성이 경제 성장의 걸림돌이 될 것을 

    우려하고 있음
○ 서비스 산업은 이질적인 다양한 산업으로 구성되어 있고, 정부와 학계는 제조업의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산업이나 지식서비스

    산업에 초점을 두고 있음
○ 문화콘텐츠 산업의 제품은 녹음·녹화하여 배포됨에 따라서 생산성이 빠르게 증가할 수 있음
     - 미국의 경우 콘텐츠 유통 부문의 노동생산성은 전체 산업 평균보다 빠르게 증가하고, 콘텐츠 유통 부문의 물가는 전체 산업

        평균보다 느리게 증가하였음
○ 따라서 한국의 문화콘텐츠 산업에 적절한 투자와 지원이 이루어질 경우 이 산업의 노동생산성이 빠르게 증가하고 가격을

    낮출 수 있음
     - 문화콘텐츠 산업을 육성함으로써 서비스 산업의 생산성 향상, 고용 증대, 물가 안정 등 세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음

 


Ⅰ. 한국 경제의 서비스화와 과제


○ 경제의 서비스화는 경제 전체에서 차지하는 서비스 산업의 역할과 비중이 커지는 현상을 말함
○ 제조업이 축소되고 서비스업이 팽창하는 것은 1990년대 이래 한국 경제 구조변화 과정의 중요한 특징
○ 서비스 산업의 노동생산성은 제조업의 1/2에 불과함
     - 1995년 이전에는 서비스 산업의 노동생산성이 제조업보다 높았음

 


Ⅱ. 서비스 산업의 다양한 구성과 지식서비스 산업의 부상


○ 서비스 산업은 매우 이질적인 산업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를 생산자 서비스, 소비자 서비스, 비시장 서비스로 구분하기도 함
○ OECD 국가와 비교해 보면, 한국 제조업 생산성은 OECD 국가에 비해서 약간 낮지만, 서비스업의 생산성은 다른 OECD 국가

    에 비해 매우 낮음
○ 한국 정부는 지식서비스 산업을 성장 동력으로 추진하고 있음

 

 

Ⅲ. 문화콘텐츠 산업의 노동생산성


○ 콘텐츠 산업과 비슷한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의 1인당 부가가치는 제조업보다 낮음
     - 제조업의 경우, 대형화, 자동화, 디지털화 등 기술 발전으로 인한 혜택을 받지만, 문화콘텐츠 산업의 경우, 제작 부문에서

        는 이러한 혜택을 받기 어려움
     - 1인당 부가가치가 높은 제조업과 방송업 등은 노동장비율(=유형고정자산/종업원 수)이 대체로 높아서, 자본 투자로 인해

        1인당 부가가치가 증가한 효과가 있음
○ 미국의 1987∼2006년간 콘텐츠 제작과 유통의 노동생산성과 물가를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 콘텐츠 유통산업의 노동생산성이 전체 산업 평균보다 빠르게 증가
     - 콘텐츠 제작산업의 노동생산성은 전체 산업 평균보다 느리게 증가
     - 콘텐츠 유통산업의 물가는 전체 산업 평균보다 느리게 증가
     - 콘텐츠 제작산업의 물가는 전체 산업 평균보다 빠르게 증가
○ 한국의 2006∼2009년간 콘텐츠 산업을 제작과 유통으로 분리하여 분석한 결과 미국과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없었음
     - 콘텐츠 제작산업에 비해서 유통산업의 1인당 매출액이 더 많았음
     - 콘텐츠 산업 유통의 노동생산성이 전제 산업 평균보다 빠르게 증가하고, 콘텐츠 유통산업의 물가가 전체 산업 평균보다

        느리게 증가한 결과를 제시할 수 없었음

 


Ⅳ. 정리와 제언


○ 서비스 산업의 고부가가치화, 생산성 증대를 통해 지속가능한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해야 함
     - 이 를 위해서 지식서비스 산업에만 집중하지 않고, 서비스업 전체에 대한 제도정비와 투자가 필요
     - 음식·숙박업, 교육서비스, 의료서비스 등을 아직도 규제산업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음
○ 콘텐츠 산업의 경우 유통 부문은 디지털 기술과 스마트 미디어의 활성화 등으로 생산성이 빠르게 증가할 수 있은 부문임
     - 미국과 같이 이 부문의 부가가치가 빠르게 증가하여 생산성이 빠르게 증가할 수 있도록 제도의 정비와 적절한 투자가 필요
○ 한국에서 서비스 산업(특히 콘텐츠 유통)의 낮은 노동생산성은 자본 투자가 적절히 이루어지지 못하였기 때문에 발생한 현상임
     - 서비스 산업(특히 콘텐츠 유통)에 자본 투자가 이루어질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요함 : 시장의 활성화, 정부의 지원(재정

       투자와 세금 감면 등)

 

 

 

※ 자세한 내용은 첨부(PDF)화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