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홍보소통

이전보도자료(~2020년)

산업 고도화로 한층 더 도약한 2019년 콘텐츠산업, 전년대비 매출·수출·종사자 지속 증가세
  • 분야일반
  • 장르콘텐츠솔루션,일반
  • 등록일2020-07-07
  • 조회15260

산업 고도화로 한층 더 도약한 2019년 콘텐츠산업,
전년대비 매출·수출·종사자 지속 증가세

- 문체부·콘진원, <2019년 하반기 및 연간 콘텐츠산업 동향분석보고서> 발간
- 2019년 주요 동향분석 및 산업규모 추정으로 11개 콘텐츠산업 환경변화 조망
- 2019년 콘텐츠산업 전년대비 ▲매출 4.9% ▲수출 8.1% ▲종사자 2.2% 증가 추정

  •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양우)와 한국콘텐츠진흥원(원장 김영준, 이하 콘진원)은 <2019년 하반기 및 연간 콘텐츠산업 동향분석보고서>를 발간했다.
  • 이번 보고서는 콘텐츠산업 11개 장르의 2019년 주요 동향을 분석했고, 사업체 2,500개사 대상 실태조사 결과 및 122개 상장사 자료 분석을 통해 매출, 수출 등 주요 산업규모를 추정했다.

◆ 만화, 음악, 캐릭터 분야의 괄목할 만한 수출 성장세에 힘입어 콘텐츠산업 수출액 전년대비 8.1% 증가

  •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주요 이슈로는 ▲게임, 웹툰, 영상과 공연 등 장르 간 원소스멀티유즈(OSMU)의 범위와 파급력이 강화돼 각광받는 ‘슈퍼 IP’ ▲5G 네트워크 환경을 활용한 실감형 콘텐츠 및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 등의 부상을 꼽을 수 있으며, 콘텐츠산업이 한층 고도화된 한 해로 평가할 수 있다.
  • 특히 이와 같은 콘텐츠 장르 간 다양한 연계와 새로운 실험이 글로벌 경쟁력으로 이어지면서, 2019년 국내 콘텐츠산업 수출액은 전년대비 8.1% 증가한 약 103억 9천만 달러까지 성장한 것으로 추정된다.
  • 11개 장르 중 가장 큰 수출 비중(67.2%)을 차지하는 ▲게임산업이 수출액 69억 8,183만 달러를 기록하며 성장을 견인한 것으로 드러났다. ▲음악산업도 6억 3,965만 달러의 수출액을 기록하며 전년대비 13.4%의 높은 수출 증가율을 이어 나갔다. 이는 전년도에 이어 방탄소년단, 블랙핑크, 슈퍼엠 등 한류의 대표주자인 K팝 아이돌 그룹이 북미시장에서 선전한 것에 힘입은 결과로 분석된다.
  • 또한, 보고서는 한류의 새로운 주류 장르로 부상한 만화와 캐릭터 분야의 수출 성장세에도 주목했다. 네이버 및 카카오계열 웹툰 플랫폼의 해외시장 진출 호조와 더불어 2019년 한국 웹툰의 글로벌 거래액이 첫 1조 원을 돌파하면서, ▲만화 분야 수출액이 전년대비 13.6%나 성장했다. 콘텐츠산업 수출 비중 2위(8억 2,493만 달러, 7.9%)를 차지하는 ▲캐릭터 분야 또한‘아기상어’의 북미 열풍 및 다양한 K-캐릭터 콜라보레이션 상품의 인기를 바탕으로 10.7%의 높은 수출 증가율을 기록했다.

◆ 전년대비 전 분야서 매출액 상승…애니메이션·지식정보·음악 분야 기여도 높아

  • 2019년도 국내 콘텐츠산업 매출액은 전년대비 4.9% 증가한 125조 4천억 원으로 추정된다. 이는 지난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이 전년대비 2.0% 증가했고, 지난 5년 간 전 산업 매출액 연평균이 3.8% 성장한 수치와 비교하면 주목할 만한 성과이다. 매출액은 콘텐츠산업 전 부문에서 증가했으며 그 가운데 ▲애니메이션(11.2%) ▲지식정보(9.1%) ▲음악(8.9%) 산업이 높은 증가율을 보여 국내 콘텐츠산업 성장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풀이된다.
  • 향후 2019년 콘텐츠산업 규모 확정치는 2021년 상반기 발간될 문체부 승인통계인 <2020 콘텐츠산업 통계조사>를 통해 공식 발표될 예정이다.
  • 이 밖에도 보고서는 주요 거시경제동향, 콘텐츠사업체 경영체감도 및 기업현황 분석 등 2019년 콘텐츠산업 환경 변화를 종합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정보들을 담고 있다. <2019년 하반기 및 연간 콘텐츠산업 동향분석보고서>는 콘진원 누리집(www.kocca.kr)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2019년 콘텐츠산업 매출.수출 성과 / 매출 / 119.6조 원(2018년) / 4.9% ↑ / 125.4조 원(2019년) / 콘텐츠산업 내 분야별 규모 및 비중 / 단위:조 원, % / 21.1(16.8%) / 21.0(16.7%) / 17.8(14.2%) / 17.6(14.0%) / 15.0(12.0%) / 13.0(10.4%) / 6.6(5.3%) / 6.1(4.8%) / 5.4(4.3%) / 1.3(1.0%) / 0.7(0.6%) / 수출 / 96.2억 달러(2018년) / 8.1%↑ / 103.9억 달러(2019년) / 콘텐츠 내 분야별 규모 및 비중 / 단위 : 억 달러, % / 69.8(57.2%) / 8.2(7.9%) / 6.6(6.4%) / 5.1(5.0%) / 2.3(2.2%) / 2.1(2.1%) / 1.9(1.8%) / 0.6(0.5%) / 0.5(0.4%) / 0.4(0.49%)

붙임 1. 2019년 연간 콘텐츠산업 규모(추정치) 인포그래픽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한국콘텐츠진흥원 홍보팀 이하영 과장(061.900.6361)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제1유형:출처표시) 마크 이미지 / 상업적이용과 변경허용 붙임 1. 2019년 연간 콘텐츠산업 규모(추정치) 인포그래픽
붙임 2. 2019년 연간 콘텐츠산업 주요 통계(추정치)

대한민국 영토, 콘텐츠로 넓힌다! Create NeWave KOCCA 심볼
담당부서소통홍보팀 담당자강원훈 문의전화061-900-6361
출처표시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