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ELCON

한국콘텐츠진흥원, 2015년 상반기 글로벌 게임산업 트렌드 보고서 발간
  • 등록일2015-08-31
  • 조회7469

한국콘텐츠진흥원, 2015년 상반기 글로벌 게임산업 트렌드 보고서 발간

◆ 해외 모바일 게임시장의 변화, 국내 중소 게임업계의 생존전략 제시
◆ 글로벌 게임업계 10대 트렌드, 주요 국가별 게임 실적, 매출 등 분석


□ 한국콘텐츠진흥원(KOCCA․원장 송성각)이 31일 글로벌 게임산업의 변화와 이에 대한 국내 게임업계의 대응 전략을 핵심 주제로
다룬 <2015년 상반기 글로벌 게임산업 트렌드 보고서>를 발간했다.
□ 보고서는 글로벌 게임산업의 중심으로 떠오른 모바일 게임의 진화를 살펴보고, 해외 모바일 게임시장 경쟁구도의 변화와
이에 대응하기 위한 중소기업의 생존 전략을 분석하는 등 국내 모바일 게임시장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데 중점을 뒀다.
□ 보고서는 모바일 게임산업이 대규모 기업 중심으로 고착화하는 주요 원인으로 ▲마케팅 광고 단가의 상승 ▲유명 IP기반
게임의 인기 ▲중국 진출이 대형 업체에 유리한 시장 상황 ▲대형 게임업체의 높은 인지도 등을 들었다.
□ 이어 ▲유료시장을 비롯한 대기업이 진출하지 않은 니치마켓 공략 ▲속도감, 자유도 등 중소기업의 장점을 활용한 대응방안
수립 등을 중소기업이 모바일 게임시장에서 성공하기 위한 전략으로 제시했다.
□ 이와 함께, 온라인 중소 게임기업으로 시작해 모바일 게임으로 주력 플랫폼을 전환해 대규모 업체로 성장한 웹젠, 스마일게이트
등 관계자들의 생생한 현장 목소리를 담은 인터뷰를 실었다.
□ 보고서는 또 현재 스마트폰 게임시장의 흐름을 주도하고 있는 핵심 사업자로 세계 1위 모바일게임 을 보유한
슈퍼셀(Supercell), 소셜게임에서 모바일게임으로의 전환에 성공한 킹(King), 일본 모바일 게임시장 생태계를 변화시킨 겅호(Gungho), 중국 1위 온라인 게임업체에서 글로벌 최대 모바일 게임기업으로 성장한 텐센트(Tencent)를 꼽았다.
□ 보고서는 2015년 상반기 글로벌 게임업계의 10대 트렌드로 ▲중국 모바일 게임시장의 성장 ▲콘솔 게임업계의 모바일 게임시장
진출 가속화 ▲가상현실 게임의 등장 ▲e스포츠 시장 활성화 ▲영화 IP 기반 모바일게임의 인기 ▲게임 스트리밍 방송 서비스의 부상 ▲게임 엔진의 무료화 시대 도래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의 확산 ▲게임과 완구의 만남 ▲토이-투-라이프 게임시장 개화 ▲마케팅에 대한 투자 등을 선정했다.
□ 보고서는 이밖에 2015년 상반기 주요 이슈, 세계 각 지역의 매출 상위 주요 게임업체의 실적과 주가 분석, 주요 국가별
게임순위 등을 한 눈에 조망할 수 있도록 정리했다.
□ <2015년 상반기 글로벌 게임산업 트렌드 보고서>는 한국콘텐츠진흥원 홈페이지(www.kocca.kr)에서 무료로 다운받을 수
있으며, 리디북스, 교보문고, Y2BOOKS, 모아진에서 전자책으로도 구독할 수 있다.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한국콘텐츠진흥원 산업정보팀 조영기 과장(☎ 061.900.6334)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붙임: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