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와썹맨, 워크맨 등

INDUSTRY
POLICY 1

INDUSTRY POLICY 1

방송인들의 유튜브 시장 뛰어들기

글. 박희아(대중문화 저널리스트)

요즘의 유튜브 시장은 말 그대로 포화 상태다. 더 이상의 이윤 창출이 어려울 수도 있다는 전망도 심심찮게 나오고 있는 상황에서, 사실상 레드오션에 가깝다고도 볼 수 있다. 그리고 지금의 레드오션은 기존의 ‘셀럽(셀러브리티의 준말)’과 더불어 이미 TV에서 심심찮게 얼굴을 비추던 유명인들이 시장에 들어서며 초래된 결과다. 무슨 일이 벌어진 것일까?

  • 이수현
    구독자 123만명
    이지금
    구독자 169만명
    유세유니 대단해
    구독자 9.45만명
    김희철
    구독자 24.1만명
    백현
    구독자 210만명
    신세경
    구독자 66.8만명
    강민경
    구독자 32.4만명

‘셀럽’들이 유튜브에 뛰어들고 있는 모습은 종합편성채널과 케이블 채널 소유자인 CJ E&M이 온갖 예능 프로그램과 드라마를 송출하기 시작했던 당시를 떠오르게 만든다. 가장 큰 차이는 하나다. 그 시기에 지상파 방송국의 주요 인력들은 종편이나 CJ E&M으로 향했다. 즉, TV에서 TV로 이동했다는 뜻이다. 그러나 지금은 TV가 아닌, 유튜브라는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으로 인력이 우르르 몰린 상황이다.

과거 종합편성채널이나 대형 케이블 채널은 많은 지상파 PD들에게 연봉을 훨씬 높게 주겠다거나, 더 나은 작업 환경을 제공해주겠다는 약속을 하고 그들을 불러 모았다. 하지만 지금 유명인들이 유튜브로 향하는 이유는 조금 다르다. 아이돌 그룹 멤버들을 비롯해 사업가 겸 방송인 백종원, TV에서조차 모습을 보기 힘들었던 톱 배우 강동원이나 각 방송사의 간판 PD 등 수많은 유명인들이 유튜브를 병행한 지 오래다. 유시민, 홍준표와 같은 유명 정치인들도 마찬가지다. TV를 보는 사람이 줄었고, 지상파 TV 채널의 시청자보다 지상파가 만든 유튜브 채널을 시청하는 사람들이 많아진 현재 이들은 TV라는 플랫폼 자체에 의문을 갖고 유튜브로 모여든다. 게다가 각 방송사마다 편성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수는 정해져 있다. 그러나 할 말이 많고 보여주고 싶은 것이 많은 연예인과 방송인, 정치인들은 넘쳐나는 게 현실이다. 매일 같이 새로운 연예인들이 경쟁자로 등장하고, 거꾸로 유명인이 된 유튜버가 예능 프로그램에 나와 연예인들의 수명을 위협할 정도다.

그러나 현실적인 문제를 차치하고서라도, 이들에게 유튜브는 매우 이득이 되는 플랫폼이다. TV에 나오는 유명인으로서의 입지, 유튜버만이 보여줄 수 있는 매력을 동시에 가져갈 수 있기 때문이다. 사람사는세상노무현재단의 공식 계정을 통해 업로드되는 <유시민의 알릴레오>나 전 자유한국당 대표 홍준표의 <TV홍카콜라>처럼 뚜렷한 정치색을 지닌 인물들은 TV에서와 달리 자신의 사상에 관해 거침없이 털어놓는다. JTBC <썰전>과 같은 예능형 시사 프로그램이 지상파의 정치 토론 프로그램보다 인기를 끌었고, 이제는 <알릴레오>와 <TV홍카콜라>의 시대다. 방송 심의에 상관 않고 거침없이 자신의 성향을 드러내는 유튜브 정치 콘텐츠들이 “<썰전>보다 재미있다”는 평을 듣는다. 콘텐츠를 올리자마자 시청자 수 100만 명을 달성한 백종원처럼 TV에서 미처 다루지 못하는 아이디어를 펼칠 공간이 필요한 사람이 있고, 아이돌 그룹 빅스의 엔처럼 입대 전에 미리 제작해둔 콘텐츠를 올리며 팬서비스를 제공하기를 원하는 사람이 있다. 결국 제작 시간, 예산이나 방송 심의 규정 등과 관련해 제약이 따르는 환경을 벗어나 편안하게 나만의 아이디어를 펼칠 수 있는 유튜브로 이들이 모여든 것은 당연한 일이다.

유명인들이 브이로그 콘텐츠나 각종 상업적인 리뷰 콘텐츠들을 편안하게 만들 수 있는 공간이 유튜브라는 점도 중요하다. 유튜브를 통해 스타가 된 사람도 많지만, 기존에 TV와 스크린을 통해 대중을 만나던 연예인과 방송인들도 개인 콘텐츠를 올려 호응을 얻으며 광고주들의 부름을 받는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TV 방송 프로그램에서 연예인들은 자신이 협찬을 받은 상품에 관해 직접적인 홍보를 하기 어렵다. 간접광고와 관련된 법적인 제재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또 시청자들이 예능 프로그램에서 자신의 사업을 홍보하는 연예인들의 모습에 불쾌함을 토로하는 사례도 잦다. 하지만 유튜브 플랫폼 안에서 그들은 무엇이든 할 수 있다. 도리어 연예인들이 유튜브를 통해 자신이 입는 옷 브랜드를 소개하거나 즐겨 먹는 음식을 광고하는 일은 매우 자연스럽게 여겨진다. 이런 환경은 유명인들이 광고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직접 스스로를 홍보할 수도 있게 된다. 한 대형 홍보대행사 관계자는 “사실 요즘은 TV 광고보다 SNS와 유튜브를 통한 홍보 효과가 더 커서 연예인이 아닌 ‘일반인 셀럽’들을 섭외하는 편”이라며 “이런 점을 아는 연예인들도 SNS 유지를 깔끔하게 하거나, 영상 리뷰 콘텐츠나 브이로그를 꾸준히 올리면서 광고 섭외가 오기를 기다리는 사람도 있다”고 말했다.

콘텐츠 소비자의 입장에서도 유명인들의 모습을 유튜브를 통해 볼 수 있다는 점은 흥미로운 일이다. 아이돌 그룹 멤버의 팬인 경우에는 그가 코인노래방에서 혼자 노래를 부르거나, 마트에서 장을 보는 모습이 담긴 브이로그를 보며 심리적 거리감을 좁힐 수 있다. 직접 요리하는 모습을 보고 멋지다는 생각이 들면, ‘먹방’을 주제로 한 유명 TV 프로그램 게시판에 캐스팅을 요구하는 글을 올리기도 한다. 이처럼 일상 속에서 다채로운 취미 생활을 즐기는 모습이 오히려 팬들에게는 해당 아이돌의 또 다른 매력을 발견할 수 있는 계기가 된다. 스타일리스트 겸 방송인 한혜연은 백종원과 마찬가지로 자신의 전문 분야를 살려 인기를 끌었다. 한혜연은 MBC <나 혼자 산다>를 포함해 여러 예능 프로그램에서 자신의 스타일링 노하우를 선보인 바 있다. 그가 유튜브를 통해 보여준 ‘매장털기’와 같은 콘텐츠들은 브랜드를 직접 언급할 수 있고, 다른 예능 프로그램에서보다 스타일링 노하우를 전수하는 데에만 시간을 투자한다. TV에서 아쉬움을 느낀 시청자들이 스마트폰으로 ‘한혜연 스타일링’을 검색했을 때, 그들은 보다 실용적이면서 현실적으로 적용 가능한 노하우를 접할 수 있게 됐다.

어떤 이들에게는 유명인들의 유튜브 진출이 악재처럼 느껴지기도 할 것이다. 방송사들은 TV 송출용 프로그램과 유튜브 게재용 콘텐츠를 동시에 고민해야 하고, 스브스뉴스(SBS), 룰루랄라 스튜디오(JTBC)와 같은 유튜브 채널의 유지관리 전략까지 마련해야 한다. 여기에 이미 유튜브가 레드오션이 되었다는 점을 인지한 기존 유튜버들의 한탄도 적지 않다. 배우 강동원이나 가수 태연의 브이로그가 일반인의 브이로그보다 주목을 더 많이 받을 수밖에 없다. 유튜버 A씨는 “그냥 일기장이라고 생각하고 브이로그를 올리기는 하지만, 연예인들이 너무 많이 하다 보니 나 같은 일반 유튜버들은 더 자극적인 콘텐츠를 만들어야 주목을 받을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며 “안 그래도 유튜브 콘텐츠를 만드는 사람이 많은데 나만의 방향성은 어떻게 유지해야 할지 고민 중”이라고 털어놨다. 하지만 또 다른 유튜버 B씨는 말한다. “유명인의 유튜브라고 해서 반드시 인기가 많은 것도 아니다. 결국은 이 또한 콘텐츠의 질과 관련한 싸움이 될 것이다.” 이미 시장은 커질 만큼 커졌고, 거기에서 자리를 잡느냐 도태되느냐는 유명인, 일반인을 떠나 모두의 일이 됐다는 뜻이다.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