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제목 | [유럽] 어린이 히트상품의 해부학: 히트상품의 핵심적 요소는? | ||||||
---|---|---|---|---|---|---|---|
분류 | 방송 | 등록일 | 11.11.30 | ||||
출처 | 한국콘텐츠진흥원 | 조회수 | 0
|
||||
어린이 히트상품의 해부학: 히트상품의 핵심적 요소는?
Television Business International (2011/10-11)
▶ 주요내용 ▶ 히트한 어린이 상품을 만들기 위해선 어떤 요소들이 필요한가?, 마법과 같은 공식이 존재 하는 것은 아니지만 인기 어린이 쇼를 제작한 사람들과 인터뷰를 통해 히트한 어린이 상품의 핵심 요소를 TBI의 Andy Fry가 밝혀 보았음,
막대한 비용이 들 뿐만 아니라 또한 추가적인 수익을 퍼블리싱, 홈엔터테인먼트, 라이센싱, 머천다이징 부분에서 내지 못한다 면 재정 위기를 맞이할 수도 있음, - 어린이 상품의 성공 요소들을 한 단어로 표현하기는 불가능한 일임, 성공작이라고 불리는 텔레토비, 포켓몬 관련 프랜차이 즈에서도 수익이 나오지 않는 부분이 많이 있었음, 몇몇의 인기작 프로그램들은 제작자들이 파산하거나 다른 회사에 인수된 이후쯤 Pay TV등에서 무한히 재방영 되는 모습을 보거나 아직도 먼지만 가득 쌓인 채로 존재할 가능성이 있음, - 어린이 프로그램 프로듀서들에게 가장 고통으로 다가오는 점은 어린이 쇼가 Hindsight Business 라는 점임, 스튜디오들이 자신들의 프로젝트가 성공할만한 요소들을 추가하는 것은 쉬우나 프로젝트의 상업적 성공을 예측하는 일은 다음 여름의 날씨 는 맞추는 것보다 어려운 일임, 예로 들면 아무도 Peppa Pig가 미취학 아동 시장에서 대 성공을 거둘 것이라고 예상하지 못했음, 하지만 Astley Baker Davies의 매력적인 2D Peppa Pig 애니메이트 시리즈는 엄청난 라이센싱 수익을 안겨다 주었음, 2010년에 Peppa Pig는£200m(US$315m)의 수익을 영국 소매 시장에서 거두었음, - Entertainment One의 어린이 가족 부서 담당 Oliver Dumont는 Peppa의 성공 요인을 Peppa가 아이들과 부모 사이에서 깊은 유대감을 만든 것으로 꼽음, ‘아이들은 Peppa Pig의 간결함 혹은 단순함을 사랑하고 부모들은 쇼에서 한 가정의 자연스러운 모습을 보여주는 것을 좋아함’, 따라서 미취학 아동을 대상으로 한 쇼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 부모를 꼽을 수가 있음, 제작자 는 부모들이 미취학 아동과 함께 쇼를 보는 것을 인식하여야 하며 또한 부모들이 아이들이 보는 프로그램을 까다롭게 선별하 는 것을 고려해야함, - 프로그램과 시청자의 유대감을 만들어 내는 것이 중요함, 간혹 스튜디오들은 라이센싱과 머천다이징에만 집중해 쇼의 질과 시청자와의 유대감을 끌어내는 창조적인 아이디어를 소홀히 하는 경우가 많이 있음, 클래식 애니메이션인 Winnie The Pooh 와 Thomas The Tank Engine에서 볼 수 있듯이 오랜 기간 동안 신뢰와 명성을 쌓아오면서 머천다이징을 하는 반면, 최근 출시하는 프로그램들은 너무 빠른 전개와 진행으로 인해 시청자들이 프로그램 혹은 캐릭터들과 유대감을 쌓는 시간이 부족 함에도 불구하고 수익을 내기위해 라이센싱과 캐릭터 상품화에만 집중을 하고 있음,
▶ 협조적인 방송국의 필요성 : 창의성과 유대감 이외에 자신들이 만든 프로그램을 잘 지원해 줄 수 있는 채널이나 방송국을 만 나는 것이 중요함, Peppa Pig의 경우 Five와 Nick을 통해 방영하였고, Nick은 현재 미국에서 성공적인 방영에 힘입어 2012년 부터 컨슈머 프로덕트를 런칭할 예정, - 대부분의 IP 소유자들이 방송국의 협조의 중요성에 대해 동의하였음, Zodiak의 어린이 가족 엔터테인먼트 다이렉터 Nigel Pickard는 프로그램 제작을 시작하기 전에 BBC와 ITV에서 방송가로 일했었음, 그는 현재 £15m 제작비 150편의 에피소드로 제작한 미취학 아동 대상 프로그램인 Waybuloo를 제작하고 있으며 BBC의 어린이 채널인 CBeebies를 통해 방영할 예정임, 그는 프로그램의 질의 중요성과 더불어 방송사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CBeebies가 자신의 프로그램를 성공적으로 브랜드화 시켜 줄 것이라고 믿고 있다고 함, - 이에 더해 Pickard는 유명한 방송채널이 100% 상업적인 성공을 확신해 줄 수는 없지만 그 성공의 확률을 높여 준다고 생각함, 텔레토비, In The Night Garden과 같은 프로그램은 BBC의 강력한 지원을 받았기 때문에 라이센시들이 더욱 흥미로워 했고 라이센스 판매 효과도 상승했음, - 또 다른 성공요인으로 Pocoyo를 제작한 Zinkia는 창의성의 관리와 비주얼로 어필하는 것 그리고 지속적인 TV에서의 노출을 꼽았음, 이러한 요소들은 라이센싱 파트너들에게 품질 좋은 프로그램을 넘겨주면서 그들이 최고의 상품을 개발해 주는 역할 을 함, 또한 타이밍의 중요성을 강조했음, Zinkia는 방송시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면서 Nick US가 우리가 가지고 있는 콘텐츠를 찾는 시점에 거래를 확보 했다고 함, - TV에서의 노출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온라인의 영향이 극대화됨, 유투브를 통한 방송으로 인기도를 지속할 뿐만 아니라 iPhone App 혹은 홈페이지의 적극적인 활용이 요구되어 지고 있음, 비록 온라인 활동이 수익으로 직접적으로 연계 되지 않는다고 할지라도 TV에서 방영되지 않는 기간 동안 시청자로부터의 흥미를 계속해서 유지 시킬 수 있는 좋은 수단이 됨, 또한 어린이들이 집 밖에 있을 경우에도 다양한 IT기기를 통해 지속적으로 브랜드와 상호작용을 할 수 있음 - 스펀지 밥을 통해본 로컬리제이션의 중요성 : 스폰지 밥은 전 세계 시장을 무대로 하는 브랜드로, 러시아의 경우 캐릭터 인지 도가 87%에 다다름, 스폰지밥의 해외 수출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점은 번역과 더빙임, 스폰지밥은 로컬 파트너들과의 계약시 스폰지밥의 유머가 정확하게 전달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현지 더빙의 중요성을 강조, Peppa Pig와 마찬가지로 스폰지밥은 라이센싱 프랜차이즈를 고려한 프로그램이 아니었음, 하지만 2009년에 $8billion의 가치를 지닌 700개의 프랜차 이즈 상품으로 거듭남, - 프로그램 업데이트의 중요성 : Ben 10은 현재 시리즈 4편을 준비하고 있으며 Peppa Pig 및 다른 인기작 또한 지속적인 프로그램 개발 및 업데이트를 통해 기존의 브랜드를 시청자들이 계속해서 신선하게 다가 올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만들고 있음, - Novel Entertainments의 Horrid Henry는 성공작품을 분석하는데 좋은 예가 될 수 있음, Novel의 MD인 Mike Watts는 Francesca Simon의 책을 기반으로 한 작품이 전방위적인 브랜드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수년간 설득했음, 영화로 제작 된 Horried Henry는 £6.5million의 수익을 거두었음, 또한 DVD 발매 및 YouTube를 통해 TV 방영전에 미리 시청자 및 팬들 을 확보 할 수 있었음, 이에 더해 스테이지 쇼 형식으로 285회의 공연을 통해 소개되었음, Henry, Peppa, SpongeBob 모두 의 경우 확실하게 라이센싱이 될 수 있는 브랜드 자산이 아니었지만 시청자와의 자연스러운 연결과 유대감 형성을 통해 상품 화되었음, - Saban Brand의 Power Rangers 시리즈의 경우 디즈니에 팔렸던 파워레인저 브랜드를 Saban Brand가 재 구매해 프렌 차이즈를 리빌딩 하고 있는 중, 1990년대 인기 있던 브랜드를 현대화 시키면서 새로운 콘텐츠로 발전시킨 케이스임, 반다이 와의 파트너쉽을 통해 장난감뿐만 아니라 디지털 제품 등 다양한 소비자 제품을 발매 하면서 현대화된 쇼에 활력소를 불어 넣었음,
|
|||||||
첨부파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