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우정성은 3월 1일, 1997년 12월부터 '디지털 케이블TV 보급을
위한 기술적 지원에 관한 조사연구회'를 개최하고, 오픈 케이블 도입을 위한 표준화
방식에 대해 기술적 측면에서 검토해 온 사항을 보고서로 정리해 발표했다.
오픈 케이블이란 어떤 케이블TV 시설에 가입하더라도 디지털 케이블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호환성을 보장하는 것으로, 1996년 미국 FCC가 오픈 케이블
도입을 결정한 이후 1997년 미국 등의 케이블TV 사업자로 구성된 연구개발기관인
Cable Labo가 오픈 케이블 프로젝트를 발족하여 1998년 표준 규격서 제1호를 발표한
바 있다.
우정성은 디지털 케이블TV 시대를 맞고 있는 오늘날, 그 원활한 보급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오픈 케이블화를 추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과제라는 판단 아래,
그 도입에 필요한 표준화 사항, 1대의 디지털 케이블 단말기(Open Cable Unit)로
모든 디지털 방송 미디어를 시청할 수 있는 프로그램 전송 방식 등의 지침을 제시했다.
'디지털 케이블TV 보급을 위한 기술적 지원에 관한 조사연구회' 보고서의 개요을
살펴본다.
오픈 케이블화는 시대적 추세
① 오픈화의 목적과 효과
ㅇ 호환성 확보
어떤 케이블TV 시설에서든 디지털 케이블 단말기 사용 가능
ㅇ 단말기 구입 증가
일반 가전점에서 기호에 맞는 디지털 케이블 단말기 구입
가능.
ㅇ 메이커 간 경쟁 촉진
값 싸며 기능이 다양한 디지털 케이블 단말기의 상품화가
기대됨.
② 폐쇄적인 일본의 케이블TV 시장
ㅇ 2000년 초기, 케이블TV 단말기 시장 규모 7,200억 엔 선 예측
2000년 BS 디지털 방송과 지상파 디지털 시험 방송이 시작되는
상황에서 현재 1,448만 세대가 가입하고 있는 케이블 단말기가 디지털화될 경우
ㅇ 폐쇄적 시장 상황
- 케이블TV 시설별로 독자적인 스크램블 방식을 채택
→ 호환성 결여
- 대여가 대부분으로 가전점이나 양판점에서 판매하고 있지 않음
→ 시청자로서 선택의 여지가 없다
- 메이커별 독자적 기준을 채택 → 경쟁이 이루어지지 않음
③ 디지털 케이블 단말기의 오픈제 도입을 통한 폐쇄적인 상황 타개
오픈화를 위한 표준화 방식
① 표준화에 대한 기본적 인식
ㅇ 호환성과 메이커 간 경쟁의 확보
- 표준화의 범위는 최소로 한다.
- 선택적 기능은 시장의 자유 경쟁과 선택에 맡긴다.
② 표준화 스타일
ㅇ 단계적인 표준화 차원의 설정
- 표준화 차원은 디지털 케이블TV의 '도입시', '보급시', '고도 서비스 제공시'로
나누어 단계적으로 추진한다.
③ 우선 표준화가 필요한 시스템
CS 디지털 방송, BS 방송(아날로그 방식) 및 표준 텔레비전
방송을 디지털로 변환한 방송을 시청할 수 있는 디지털 케이블 단말기의 표준화를
꾀하여 디지털화의 조기 도입을 촉진한다.
표준화 사항
① 프로그램 전송 방식
1대의 디지털 케이블 단말기로 모든 디지털 방송 미디어를
시청할 수 있는 영상제어신호 바꿔쓰기(rewriting)·재편집에 의한 재(再)다중방식으로
한다.
② 스크램블 방식
CS 디지털 방송, BS 디지털 방송과 같은 방식인 MULTI-2로
한다.
③ PPV(Pay Per View)
앞으로 유력한 서비스가 될 것으로 예측되기 때문에 처음부터
표준화한다.
④ 리턴 패스
RF Return 방식(케이블TV의 상방향 회선을 이용), Tele
Return 방식(공중전화 회선을 이용)의 두 종류가 있기 때문에, 국제적인 동향을 살피면서
표준화를 꾀한다.
⑤ EPG(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간이형', '단시간형', '예약형'의 기능별로 나누어 표준화를
꾀한다.
CA(Channel Address) 모듈
① CA 인터페이스
CA 인터페이스는 'CA 카드 방식', 'CA 칩 방식', 'CA 칩
+ 카드 교환 방식' 등 세 종류로, 디지털 케이블TV의 도입 초기, 본격적인 안정성의
확보·유지를 필요로 하는 시기 등에 따라 단계적으로 제시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② 제공 형태
ㅇ 판매 방법
CA 모듈은 디지털 케이블 단말기와 세트로 가전점에서 판매한다.
ㅇ CA 모듈의 정보 기록
케이블TV 사업자를 매개로 필요한 정보를 바꿔 기록하여
다시 시청자에게 교부한다.
③ 정보 관리체제의 확립
기록 정보신호로서의 투명성의 확보와 호환성의 확보, 그리고
정보의 중복 사용을 회피할 필요가 있다.
이를 일원적으로 관리할 공정 또는 중립적인 체제를
확립해야 한다.
차세대 디지털 케이블 단말기의 표준화 방식
① 긴급방송 시스템
긴급시 절전하면서 케이블 단말기를 작동시키는 방법 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② 복사 방지 시스템
가정내 전자기기(특히 디지털 기록 장치)의 복사 제어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의 동향을 고려하면서 검토를 진행한다.
③ 문자방송 시스템
미래 방송의 멀티미디어화를 고려하여 전송 방식, 수신·표시
방식을 종합적으로 취급하는 인터페이스 조건을 확립할 필요가 있다.
④ 디지털 케이블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ㅇ Base Band A/V 출력 단자, S-Video 단자를 표준 장착한다.
ㅇ 디지털 인터페이스
앞으로 지상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BS 디지털 방송에
부가될 것으로 상정되는 데이터 통신, 문자·도형·정지화 등의 새로운 서비스에
대응하기 위해 이들 정보 신호를 그대로 가정내 전자기기에 전달하는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장착한다.
⑤ SI/EPG 미디어의 공통화
통신 미디어를 포함한 다양한 디지털 방송 미디어를 의식하지
않고 1대의 디지털 케이블 단말기를 실현하기 위해 ITU(국제전기통신연합) 등이 진행하고
있는 SI(Services Information)/EPG 미디어의 공통화·표준화 동향을 주시한다.
시스템 개발과 표준화 체제
① 미국의 시스템 개발과 표준화 체제
非메이커에 의한 케이블TV 시스템의 개발·표준화 체제를
확립함으로써 시스템의 호환성을 확보한다.
ㅇ Cable Labo(시스템 개 발기관)
ㅇ SCTE(표준화 기관)
② 일본의 시스템 개발과 표준화 체제
현실적으로 케이블TV 사업자가 주도하는 시스템 개발 및
표준화 체제를 구축하는 것은 어려울 것으로 보이지만, 체제 확립을 위한 지속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③ 국가의 지원
ㅇ 디지털 케이블TV 시스템의 연구 개발과 표준화 지원
ㅇ 디지털 케이블TV 시스템을 연구 개발할 수 있는 공동 이용형 연구
개발 시설의 정비
우정성은 이 보고서의 발표와 함께, 앞으로 민간 표준기관에서 이
지침을 바탕으로 디지털 케이블 단말기의 표준화를 지원·촉진함과 동시에 디지털
방송 시대에 대응하여 케이블TV의 디지털화 추진을 지원할 방침임을 밝혔다.
ㅇ 참고 : http://www.mpt.go.jp/pressrelease/japanese/new/990301j701.html
ㅇ 정리 : 이세영(문헌정보자료팀 팀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