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통권 57호] 중국, 케이블을 중심으로 방송산업을 육성하는 정책 채택 | ||||||
---|---|---|---|---|---|---|---|
분류 | 기타 | 등록일 | 99.12.18 | ||||
출처 | 한국콘텐츠진흥원 | 조회수 | 0
|
||||
중국의 텔레비전 산업은 세계에서 가장 규제가 심한 시장인 반면, 2억 8000만에 달하는 텔레비전 보유세대를 확보한 세계에서 가장 커다란 시장이기도 하다. 도시 가구 가운데 컬러TV를 보유한 세대는 90%에 달하며(1995년), 농촌지역의 흑백TV 보급은 전 가구의 80%에 이르고 있다. 다채널 유료TV의 잠재적 시장은 이용료가 월 10달러 이하일 때, 현재 1억 1500만 가구에 달할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현재 케이블 설치비는 23∼35 달러이며 가입자는 월 0.9∼1.42 달러의 이용료를 지불하고 있다. 중국 본토의 케이블방송국 사업자는 1997년 약 17억 달러의 수입을 올릴 것으로 예측되는 것에 비해, 10년 후인 2007년에는 300억 달러 이상의 수입을 올릴 것으로 평가된다. 앞으로 5년 동안 중국의 케이블 가입자는 현재의 약 4000만에서 7500만으로 성장할 것이다. 그리고 2007년이면 전체 가구의 27%에 해당하는 1억 600만이 케이블에 가입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 수치에는 DTH(direct-to-home) 가입자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현재 불법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규제상황이 바뀌고 유료 DTH 사업이 정식으로 시작되면, 1억 600만에 달하는 케이블 가입수는 DTH 가입자를 포함한 전체 다채널 세대를 나타내는 수치가 될 것이다. 동시에 중국 정부는 자국민에 대한 외국의 영향을 염려하여 엄격한 규제를 계속 적용할 것이다. 1996년, 중국 정부는 케이블방송국을 대상으로 새로운 프로그램 규제조치를 내렸다. 이 규제에 따르면, 외국 프로그램이 전체 편성의 25%를 넘지 않아야 하며, 프라임타임대(6:00pm∼10:00pm)의 외국 프로그램은 채널당 하루 40분 이내로 제한하고 있다. 1997년 7월, 중국의 라디오·영화·텔레비전성(MRFT)은 20편이 넘는 텔레비전 드라마 시리즈물을 금지시켰다. 하지만 예외는 있어 중국 남부 광둥성의 광둥 케이블은 홍콩의 4개의 지상파를 전송할 수 있다는 허가를 받았다. 대부분의 케이블방송국은 8∼20채널 정도를 제공하고 있지만, 일부 30채널 정도를 제공하는 시스템도 있다. 이러한 채널은 1∼8개 정도의 FM 지상파 채널을 포함하고 있다. 편성은 대체로 위성에서 전송되는 CCTV채널과 성(省) 채널, 도시 채널, 방송국 자체 채널로 이루어진다. 전통적으로 텔레비전에 대한 중국 정부의 규제는 엄격했지만, 1989년 티엔안먼(天安門) 광장 사건을 계기로 개인이 smatv(satellite master antenna television) 시스템을 설치하는 것을 금지하는 등 규제가 더욱 강화되었다. 4년 후인 1993년 10월 중국 성(省)위원회는 개인이 위성 안테나를 소유하는 것을 금지하는 등 규제를 더욱 강화했다. 기본적으로 중국 정부는 다채널 산업에 '싱가포르 모델'을 적용하고 있다. 이 모델은 광범한 대중이 요구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가장 이상적인 미디어로 케이블TV를 상정하고 있다. 케이블은 프로그램을 전송하기 이전에 모니터하고 검열하여 다음 전송할 수 있다. 1990년 이래 중국 정부는 중국 케이블TV 관리규정을 통해 케이블을 중심으로 한 방송산업을 진흥시켜 왔다. 이 규정은 케이블 시스템의 구축, 관리, 재정에 관한 지침을 제공하고 있으며, 장비와 기술 그리고 프로그램 편성의 기준선을 설정하고 있다. 1995년, 중국에는 1287개의 인가받은 케이블 시스템 운영국와 약 2000개에 달하는 무인가 운영국이 있었다. 외국회사들의 합작을 통한 케이블 하드웨어와 프로그램 제작에 대한 투자는 적극 권장되었으나, 케이블 시스템을 직접 운영하는 것은 금지되었다. 장비 공급자에게 중국의 케이블 시장은 현재 엄청난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중국의 경제특구 가운데 50% 이상이 케이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으며, 2000개 이상의 군(郡) 지역과 500여 개의 시 지역, 그리고 중국 31개 성의 대부분이 2000년까지 자체적인 케이블 운영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정부는 광케이블 구축을 권장하고 있지만, 나라 전체를 통해 케이블 인프라의 형태에 엄청난 다양성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상하이, 다롄(大連), 칭다오(靑島), 우한(武漢)과 같은 도시는 광동축 하이브릿(HFC) 케이블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는데 반해, 난징(南京)과 항저우(杭州)와 같은 도시에는 동축 케이블만이 설치되어 있다. 베이징에는 MMDS(multipoint microwave distribu -tion system)가 채택되었지만, 도시는 점차적으로 HFC로 옮겨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다양성 때문에 대부분의 시스템 운영자들은 시스템을 HFC 네트워크로 업그레이드하는 것을 주저하고 있다. 일본의 쓰미토모 상사와 미국의 TCI는 케이블 기술을 연구하고 산업표준을 개발하는 연구실험실을 베이징에 설치하겠다고 약속했다. [Cable & Satellite ASIA '97. 11∼12]
|
|||||||
첨부파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