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통권 41호] 미국, 등급제의 부정적 효과에 대한 보고 | ||||||
---|---|---|---|---|---|---|---|
분류 | 기타 | 등록일 | 99.12.18 | ||||
출처 | 한국콘텐츠진흥원 | 조회수 | 0
|
||||
일군의 연구자들이 자신들이 TV산업측이 제시한 연령에 기초한 내용 등급과 관련한 새로운 현상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그들은 새로운 현상을 '금단의 과일 효과(forbidden fruit effect)'라고 명명했다. 등급시스템은 부모들이 어린이들의 시청습관을 바르게 지도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지만 어린이들은 TV에서 좀 더 흥미있는 프로그램을 찾아내는 도구로 사용하고 있다고 한다. "지금 사용되고 있는 프로그램은 어린이들에게 금지된 프로그램을 알려주는 역할을 합니다."라고 University of Wisconsin의 Joanne Cantor가 지적했다. Cantor는 NCTA가 재정지원한 330만달러짜리 연구의 책임자였다. 이 연구는 UC Santa Barbara의 Barbara Wilson이 이끌었고, 연구자들은 3년짜리 연구의 제 2과제를 3월 26일에 제출했다. 폭력프로그램이 넘치고 있다 지난해에 연구자들은 TV프로그램 대다수에 폭력이 난무하고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그들은 또 지난 2년 동안 TV에 방송되는 폭력적 프로그램들에 주의해 볼 만한 변화가 전혀 없었다는 것도 발견했다. 케이블산업계는 2년전 의회의 압력에 못이겨 이 연구를 지원하기로 했었다. 방송사업자들은 자체적으로 또다른 연구를 지원하고 있다. 산업계가 연구결과들이나 등급제로 주류문화를 지키려는 사람들을 달래기 위해 애쓰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TV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문제는 언제나 가장 민감하고 우선적인 주제이다. 클린턴 대통령조차도 이 연구를 칭찬하고 TV프로그램에서 폭력의 양을 줄여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클린턴 대통령은 "이 연구는 아직도 TV에 폭력적 내용이 많다는 걸 우리에게 알려줬습니다. 따라서 우리가 시작한 (폭력을 줄이기 위한) 노력은 끊임없이 계속되어야 합니다."라고 말했다. Cantor는 TV산업계가 제시한 '부모의 지침' 등급시스템은 연구하지 않았다. 대신 Milwaukee에 거주하는 5∼15세 어린이들 374명을 대상으로 MPAA의 등급표시를 이용하는 방식에 대해 실험한 결과에 기초해 이론을 정리했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TV의 등급표시는 MPAA의 나이기준 코드에 기초한 것이다. Cantor는 또한 HBO와 Showtime에서 사용하는 시스템에 대해서도 어fls이들의 반응을 조사했다. 이 시스템은 성적 표현, 폭력적 표현, 욕설의 수준을 표현하는 방식이다. MPAA의 반론 8개의 프로그램 등급 시스템에 대한 연구에서 연구자들은 MPAA의 등급만 어린이에게 성인들용으로 제작된 프로그램을 보도록 유도한다고 밝혔다. "더 구속wjr인 PG-13이나 R등급은 프로그램에 대한 호기심을 증폭시키는 반면, 낮은 등급인 G는 프로그램에 대한 흥미를 감소시킵니다."라고 연구자들은 쓰고 있다. MPAA의 회장인 Jack Valenti는 즉각 30년 전에 자신이 만들었던 등급시스템을 방어하고 나섰다. 그는 "자, PG-13등급을 받은 프로그램이 어린이를 유혹하고 '섹스, 누드, 폭력'이라고 등급매긴 프로그램은 그렇지 않다고 하는 겁니까?"라고 기자들에게 보낸 성명에서 말했다. 이 연구에 돈을 대었던 케이블 산업계에서는 어떠한 코멘트도 하지 않고 있다. [TV Digest '97. 3. 31./Variety '97. 4. 6.]
|
|||||||
첨부파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