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통권 35호] 일본 우정성, '다채널 간담회' 보고서 펴내 | ||||||
---|---|---|---|---|---|---|---|
분류 | 기타 | 등록일 | 99.12.18 | ||||
출처 | 한국콘텐츠진흥원 | 조회수 | 0
|
||||
지난 12월 9일 일본 우정성이 CS디지털방송과 위성방송 등 본격적인 다채널시대의 방송의 바람직한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설치했던 [다채널시대에 있어서의 시청자와 방송에 관한 간담회]의 최종 보고서가 발표되었다. 주요 내용은 다채널 시대의 밝은 전망을 제시하기보다는 '저속한 프로그램'과 '방송에 의한 권리 침해'의 증가를 우려하는 '비관론'이 지배적이다. 보고서는 다채널화의 문제점으로서, 1) 저질 프로그램의 증가 2) 프로그램 편집 책임 인식의 희박화 3) 시청자의 정보판단능력과 경제력 격차 증가 4) 프로그램의 전문화, 세분화에 따르는 공통정보와 공통가치관의 상실이라는 네 가지를 들고 있다. 또 이러한 문제 인식에 입각해 간담회가 검토를 실시한 논의의 초점은 1) 판단력이 미성숙한 청소년의 보호 2) 권리침해 억제와 피해자의 신속하고 공정한 구제를 위한 제도 3) 방송국 프로그램 편집책임의 명확화를 도모할 방법과 의무 이행을 확보하기 위한 제도 4) 방송프로그램의 다양화와 경쟁환경의 격화 속에서 제3자에 의한 평가의 의미 등이었다. 이번 보고서의 특징으로는 1) 저질 프로그램의 증가 및 2) 프로그램 편집의 책임인식 희박화의 문제에 대한 방송사업자의 '자체적 노력'에는 한계가 있고, 제3자에 의한 판단이 필요하다는 '외부규제론'을 제시한 점에 특징이 있다. 물론 이제까지 우정성의 방송행정에서 제3자에 의한 규제론이 이번에 처음 제시된 것은 아니다.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면 1959년의 방송법 개정에서 '선량한 풍속에 해를 끼쳐서는 안된다'는 항목을 추가한 바 있고, 이를 확보하는 방법으로서 '방송프로그램심의회'의 설치를 의무화했다. 그러나 당시 일본 정부는 '방송국의 자주성을 존중하고, 표현의 자유를 확보하기 위해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는' 차원에서, 프로그램심의회 위원의 인선과 위촉은 정부나 그 밖의 공적 기관이 아니라, 각 방송국에 맡겼다. 그런데 최근 들어 잇따른 정치적 공평성을 둘러싼 문제, 프로그램의 저질화, 거짓 연출 사건으로 상징되는 프로그램 편집 책임인식의 희박화에 대한 비판 여론이 확산되자 기존 프로그램심의회의 공동화, 희박화에 대한 문제 제기와 함께 방송국에 맡겨두어서는 안되고 '제3자'가 방송의 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제도적 정비가 필요하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 것이다. 이번 보고서에서 초점으로 부각된 것도 바로 '고충 대응의 제3자 기관' 설립을 둘러싼 문제였는데, 이에 대해서는 일본 민간방송연맹과 NHK 등의 강력한 이의 제기로 반대의견을 병기하는 형태가 되었다. '제3자 기관'의 형태에 대해서는, 세 가지를 고려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각 신문은 어떠한 형태로든 우정성의 관여로 프로그램의 내용이나 프로그램 편성에 대한 규제가 강화될 가능성이 있다는 비판적 입장을 밝혔다. 또 '고충'의 내용에는 '프라이버시 침해' 등의 인권문제 외에 '정치적 공평'과 '저속프로그램에 대한 불만' 등 입장과 가치관에 의해 의견이 다를 수 있는 문제도 포함되어 있다는 점에서, 표현의 자유에 제한을 가할 수 있다는 논의도 제기된다. 이 간담회의 직접적 계기가 된 것으로 알려진 사건은 '93년의 TV아사히 보도국장(당시) 쓰바키씨의 선거보도를 둘러싼 이른바 '쓰바키 발언 문제'이다. 그 후 매체 사정의 변화로 '다채널화'에 따르는 문제를 논의했는데, 현실적으로는 다양한 분야에서 '기존 공중파 텔레비전'을 견제하려는 의도가 지적되어 왔다. 본 민방련이 강력히 반발하고 있는 것도 바로 이런 이유에서이다. 이제까지 '전파 희소자원론'에 입각해 우정성의 면허행정하에 '저자세'일 수밖에 없었던 방송계가 300채널이 넘는 다채널시대를 맞아 처음으로 당국과 '전면대결' 자세를 밝힌 상황이라는 지적도 있을 정도이다. 보고서의 '구체화'에는 우여곡절이 예상된다. 최근 수년간 일본에서는 기존 텔레비전의 선정성, 저속성, 인권침해 사례 등에 대해 비판이 줄기차게 제기되어 왔다. 방송사업자로서는 우정성의 규제 의도를 뿌리치기 위해서는 시청자의 신뢰회복이 급선무인데, 좀처럼 단기간내에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는 점에 현재 일본 민방계가 처한 딜레마가 있다. <보고서의 주요 내용> [황성빈/일본통신원]
|
|||||||
첨부파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