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통권 34호] 독일, 공영 신설채널 편성구조 발표 | ||||||
---|---|---|---|---|---|---|---|
분류 | 기타 | 등록일 | 99.12.18 | ||||
출처 | 한국콘텐츠진흥원 | 조회수 | 0
|
||||
독일 공영방송 ARD와 ZDF가 공동으로 운영할 '어린이채널'(공식명칭, 'Kinderkanal')과 행사 및 정보채널 '푀닉스(Ph nix)'의 편성구조가 11월 18일 소개되었다. 어린이채널은 내년 1월 1일부터, 푀닉스는 내년 4월 1일부터 방송을 시작할 예정이다. 어린이채널 (Kinderkanal) 어린이채널은 평일 8시부터 19시까지, 주말에는 6시부터 19시까지 유선 및 위성으로 전파된다. 어린이 채널의 편성구조를 보면 이미 ARD와 ZDF에서 방영된 프로그램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일부 시간대에는 ARD/ZDF와 똑같은 프로그램이 동시에 방송된다. 평일 오후 한시간 반 정도 방송되는 ZDF 어린이 및 청소년 프로그램과 토.일요일 오전의 ARD 어린이 프로그램이 공동으로 방송되는 프로그램들이다. 또한 토.일요일 오후에도 같은 날 오전에 ZDF에서 방송된 어린이 프로그램이 재방송된다. 단지 17∼19시 사이에만 어린이채널을 위해 새로 제작되는 게임 쇼, 시트콤, 만화영화, 연속극 등의 프로그램으로 편성되어 있다. 어린이채널의 아침방송은 취학전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여, 매거진 프로그램, ARD와 ZDF의 옛 프로그램(Oldies ARD/ZDF), 전날 방송된 프로그램의 재방송으로 구성된다. 14시 이후에는 학교에 다니는 연령층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데, 여기도 ARD와 ZDF에서 이미 성공적으로 방송된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있다. ZDF 사장 Dieter Stolte는, 재방송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은 것은 우선 비용 때문이라고 밝혔다. 내년부터 발효될 예정인 주들의 새 시청료 협정은 시청료 인상폭 중 월 26페니히(약 150원)를 어린이채널에, 14페니히(약 80원)를 행사 및 정보채널에 사용하도록 규정했다. Stolte는 어린이채널에서 기술 및 인력에 필요한 경비를 최소화할 수 있어 (기술 부분은 개인회사에 수주하여 전담시켰고, 인력은 고정직원 20여 명을 포함하여 모두 30명) 시청료 할당분인 연 1억마르크(약 550억원) 중 2/3를 프로그램에 투입할 수 있지만, 절대액 자체가 크지 못하다고 말했다. 최근 공영방송사 사장들은 어린이채널과 푀닉스에서 광고 및 스폰서를 전적으로 배제하기로 결정했다. ZDF 사장 Stolte는 어린이 프로그램의 재방송이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말하며, 이는 새로 태어난 어린이들이 계속 자라나고 있고, 어린이들은 마음에 드는 프로그램을 다시 보는 것도 좋아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ARD의 어린이 종합프로그램 'Tigerenten Club' 등 공영방송은 어린이들이 가장 즐겨 보는 몇 개의 프로그램을 갖고 있다. 하지만 어린이들이 텔레비전을 시청하는 전체 시간에서 공영 시청시간은 급격히 줄어들었다. 공영과 민영의 시청자점유율을 비교하면 연령층이 내려갈수록 공영이 약세를 보이고 있다. 전체 시청자층을 기준으로 했을 때 공영이 차지하는 시청자점유율이 약 40%인데 반해 13세 이하의 연령층에서는 20-25% 정도이다. 따라서 어린이들의 민영 선호경향은 공영의 미래에 큰 그림자를 던지고 있다. 특히 저녁시간에 어린이들과 청소년들은 시트콤, 게임쇼 등 어른들을 위한 프로그램을 즐겨 시청하고 있다. 공영방송사는 새로 도입되는 어린이채널을 통해 그동안 민영에 빼앗겼던 어린이들이 다시 공영으로 돌아오기를 기대하고 있다. 행사 및 정보채널 푀닉스 (Ph nix) 행사 및 정보 전문채널인 푀닉스는 처음 구상단계에서는 의회채널이란 이름으로 소개되었었다. 즉 연방의회, 주의회, 유럽의회 등 각종 의회 진행상황을 중계를 프로그램의 기본 내용으로 한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방송 대상이 의회 진행뿐만 아니라 노조대회, 정당의 전당대회, 세계기구의 회의, 각종 사회단체의 행사의 실황 혹은 녹화중계 등 '행사'적 요소와, 다큐멘터리, 르포, 좌담, 인물소개 등 정보프로그램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이 채널의 성격 표현을 '행사 및 정보 채널'(Ereignis- und Dokumentationskanal)로 변경했다. 발표된 편성구조를 보면 이 채널에서도 일부 시간대에는 ARD와 ZDF의 프로그램이 동시에 방송된다. ARD와 ZDF가 공동으로 방송하는 '아침의 매거진', '정오의 매거진' 및 ARD의 저녁 뉴스 'Tagesschau'(20.00-20.15), ZDF의 뉴스 매거진 'heute-journal'(21.45-22.15)이 동시방송되는 프로그램이다. 그러나 이를 제외하면 뉴스 프로그램은 거의 없고, 회의 혹은 행사 중계 및 정보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보도전문채널과는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지 않아도 좁은 보도전문채널 시장에 공영이 민영과 경쟁을 함으로, 민영 보도채널이 설 자리가 없어지게 되었다는 비판은 이로써 어느 정도 근거를 잃게 되었다. 이 채널의 방송시간은 6시에서 24시 사이로, 우선 유선을 통해서 전파되고 1998년이 되어야 직접 위성안테나를 통한 전파가 추가될 수 있을 것이라고 보도되었다. 공영의 전문채널 방송에 대한 논란 독일 공영의 방송인들은 변화하는 방송환경에서 공영이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공영의 전문채널 방송이 필수 불가결한 것이라고 주장해 왔다. 이들은 공영방송이 기존 방송의 영역에만 머무를 경우에는 점차 힘을 잃게된다고 보고, 전문채널뿐만 아니라 디지털 방송, 쌍방향 텔레비전은 물론 온라인 서비스 영역에도 진출해야 한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실제로도 독일 공영방송사는 이미 새 매체 영역의 진출을 구체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디지털 텔레비전 실험 프로젝트 참여, 인터넷을 통한 방송 및 추가정보 제공이 여기에 속한다. 그러나 독일의 '우파' 정당들은 이러한 공영의 영역확대를 반대하고 있다. 방송의 기본공급 임무를 위해서 기존의 종합방송과 지역방송으로도 충분하다는 것이 그 이유이다. '우파' 정당들은 오히려 공영이 지금의 규모를 더 축소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주들의 방송협정을 위한 협상과정에서 공영의 전문채널 도입은 한 쟁점이 되었었다. 주 총리들은 이를 결국 허용하면서 시청료에서 전문채널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돈의 한도를 정하는 것으로 타협점을 찾았다. 이것은 '국가가 시청료를 통해 방송사의 프로그램 구성에 영향력을 미쳐서는 안된다'는 연방헌재의 판결 내용에 어긋난다는 비판을 받았다. 그러나 정작 공영방송사 쪽에서는 이러한 재정 제한에 대한 비판을 표명하지 않았는데, 이는 현재의 매체정책과 관련된 정치적 상황에서 전문채널을 허용받은 것만도 다행이라고 보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사실 이 타협점은 '공영이 전문채널을 운영해도 되는가'라는 원칙적인 문제에 대한 긍정적 답변으로 볼 수 있어 의미가 크다고 하겠다. 그러나 문제가 아직 완전히 해결된 것은 아니다. 최근 작센주 주의회 원내 기민련(CDU, 주정부 집권당)소속 의원들은 주 총리들이 서명한 새 방송국가협정을 조건부로 동의해 주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지금 진행되는 방송 기술의 변화로, 앞으로 방송에 대해 보다 폭넓은 탈규제가 요구된다는 점에서, 이번에 체결된 방송국가협정은 잠정적 해결책에 불과하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 이들은 공영의 전문채널 방송을 한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작센주의 기민련은 어린이채널은 받아들일 수 있지만 '행사 및 정보채널'에 대해서는 강한 반발을 표명했다. 이것이 물론 내년 1월 1일부터의 발효를 목표로 현재 각 주의회에서 동의 절차를 밟고 있는 새 방송국가협정의 일정을 실제적으로 방해하려는 의도에서 나온 것이기보다는, 정치적 포석의 하나로 봐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 사례에서도 '우파' 정당이 공영의 축소를 원하는 정치적 배경이 잘 드러나고 있다. 보수적 성향의 독일 정치가들이 민영의 성장을 바라보는 눈은 이중적이라고 볼 수 있다. 정치보도에 비교적 큰 비중을 두는 공영이 축소되어 민영 도입을 추진해온 그들의 정치적 계산은 적중했다. 하지만 민영의 선정성으로 '고급' 문화가 설 자리를 잃어가고, 전통적 윤리가 흔들릴 위험에 처한 상황이 그들에게 만족스럽지는 못할 것이다. 공영의 전문채널 확대에서 어린이채널은 받아들일 수 있지만 정보채널은 받아들일 수 없다는 것이 바로 이런 입장의 연장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공영 지역방송 및 공영 문화방송 채널에 대한 지상파 및 유선 채널의 우선배정 원칙도 도전을 받고 있다. 새 방송국가협정은, 그 전의 국가협정이 그랬듯이 임시적 성격을 강하게 띠고 있다. 즉 2000년 말까지 공영방송의 구조에 대한 새로운 안을 만들겠다는 것이 주 총리들의 합의 사항이다. 새로 시작되는 공영의 전문채널이 그때 가서 어떤 운명에 처할 것인지는 무엇보다 이 채널이 그때까지 어떻게 운영되느냐에 달려 있다. 시청자로부터 인정을 받고 있는 채널을 없애기는 힘들 것이기 때문이다. [김영욱/독일통신원]
|
|||||||
첨부파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