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o N정책 소식

소비 취향의 다양성과 서브컬처  Vol. 34

Info N 정책 소식

한국콘텐츠진흥원의 ‘ECO ACTION’ PROJECT

한국콘텐츠진흥원 콘텐츠산업정책연구센터는 지난해에 이어 국내 콘텐츠산업의 친환경 제작 활성화를 지원하기 위해 2건의 정책연구를 통해 「친환경 콘텐츠 제작 가이드북」과 「방송영상 콘텐츠 제작 분야 탄소배출계산기」를 마련했다.

Eco-friendly and sustAinable Content production

- 한국콘텐츠진흥원에서 수행하는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콘텐츠 제작 프로젝트를 의미 - 국내 콘텐츠산업의 친환경 제작 활성화를 지원하기 위한 취지로 2023년부터 정책연구센터에서 수행하고 있는 연구 성과를 통합 지칭하는 브랜드로 활용 예정

① 친환경 콘텐츠 제작 활성화 방안 및 실천 가이드북 마련 연구

첫 번째로는 국내 콘텐츠기업이 기후위기에 따른 규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친환경 콘텐츠 제작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업계 특화된 친환경 제작 방안을 제시하고 자체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항목을 수록한 「친환경 콘텐츠 제작 활성화 방안 및 실천 가이드북 마련 연구」를 수행하였다.
23년 수행한 「콘텐츠산업의 ESG 경영 확산을 위한 친환경 콘텐츠 제작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의 후속으로 해외 주요국의 콘텐츠 제작 가이드라인 및 국내외 친환경 콘텐츠 제작 사례를 추가 분석하여 기존 가이드라인(안)을 재정비하고 친환경 콘텐츠 제작 가이드북으로 콘텐츠 제작사들의 접근성 및 활용도를 제고하고자 했다.

2023년 친환경 콘텐츠
제작 가이드라인(안)

2024년 친환경 콘텐츠
제작 가이드북

K-콘텐츠 친환경 제작을 위한 가이드북 주요 내용 및 개선 사항

K-콘텐츠 친환경 제작을 위한 가이드라인(안) 개발

기존 가이드라인(안)의 항목 개선을 위해 ▲해외 주요국 가이드라인 사례 업데이트(프랑스 및 독일 사례 추가, 스페인 사례 업데이트) ▲국내외 콘텐츠 기업의 친환경 이행 사례 분석 ▲국내 업계 전문가 45인 대상 의견 수렴을 진행하였다.

친환경 콘텐츠 제작 가이드북은 콘텐츠 기획·제작 과정에서 친환경을 실천할 수 있는 차원을 크게 친환경 경영(Management)과 친환경 제작(Production) 등 두 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친환경 경영>은 조직 경영 차원에서 친환경 콘텐츠 기획·제작 및 그 외 친환경 실천을 위해 내외부적으로 이행할 수 있는 노력을 의미하는 영역으로 ▲친환경 실천 계획 및 목표 수립 ▲내부 구성원 인식 제고 ▲공급망 관리 ▲외부 협력체계 구축 ▲친환경 가치 확산 활동 등 5개 세부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친환경 제작>은 ‘콘텐츠 기획·제작 과정에서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행할 수 있는 방안’을 의미하는 영역으로 ▲환경친화적 제작 현장 조성 ▲원부자재 ▲에너지 ▲용수 ▲온실가스 ▲폐기물 ▲제작 현장 보존 및 보호 등 총 7개 세부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주요 개선된 사항으로 세부항목에 따라 콘텐츠 기업에서 실천할 수 있는 구체적 실천 방안을 설명하고, 이에 더해 이행 방안 실행 여부를 자체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콘텐츠 기획·제작 특성을 고려하여 제작 유형에 따라 상이한 세부항목 및 이행 방안을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친환경 콘텐츠 제작 가이드북 구성]
구분 주요내용 제작 유형
영역 분류 세부항목
친환경 경영 M-1 친환경 실천 계획 및 목표 수립 친환경 콘텐츠 제작을 위한 목표 설정, 전담 조직 구성, 가이드라인 마련 및 시행 등 공통
M-2 내부 구성원 인식 제고 경영진을 포함한 내부 구성원 인식 제고를 위한 교육 제공, 인센티브제도 및 기금 운용 등
M-3 공급망 관리 공급망 내 협력사/자회사 ESG 대응 및 친환경 이행 지원, 계획 수립 등
M-4 외부 협력체계 구축 친환경 콘텐츠 제작을 위한 유관기관 협업, 외부 전문가 활용 등
M-5 친환경 가치 확산 활동 친환경 실천을 주제로 한 콘텐츠 제작, 캠페인 전개, 나무 심기, 자연/생태계 복원 참여 등
친환경 제작 P-1 환경친화적 제작 현장 조성 제작 현장에서의 친환경 실천 분위기 조성 및 구성원 참여 독려 등 A
P-2 원부자재 친환경 인증·지속 가능 원자재 사용 공통
P-3 에너지 친환경 전력 공급 및 장비 사용 A
B, C
P-4 용수 용수 절약 A
B, C
P-5 온실가스 온실가스 배출 저감을 위한 노력 A
B, C
P-6 폐기물 폐기물 관리 계획 및 배출량 저감 노력 공통
P-7 제작 현장 보존 및 보호 제작 현장의 환경적 특성, 규제, 지침 숙지, 자연 현장 보존 및 보호 노력, 소음 발생 최소화 등 A
· A: 실내외 스튜디오, 세트장, 야외 등 촬영 현장에서 영상 콘텐츠 제작 시
· B: MD, 음반, 완구, 인쇄(출판물) 등 실물 제품 콘텐츠 제작 시
· C: 음원, 게임, 애니, 웹툰 등 디지털 기반 콘텐츠 제작 시

② 방송영상 콘텐츠 제작 분야 탄소배출계산기 개발 연구

두 번째로는 기업의 기후위기 대응 및 탄소배출량 정보 공개를 요구하는 규제의 본격 시행에 앞서 국내 콘텐츠 기업이 대응 기반을 마련하는 데 지원하기 위한 취지로 「방송영상 콘텐츠 제작 분야 탄소배출계산기 개발 연구」를 수행하였다.
탄소배출량을 측정할 수 있는 계산기 마련을 통해 콘텐츠 제작 현장에서 가장 많은 탄소를 배출하는 활동을 식별하여 탄소저감 목표를 수립하고 실천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고자 했다.

방송영상 콘텐츠 제작분야 탄소배출계산기

K-방송영상 콘텐츠 제작 현장의 특성을 고려한 탄소배출계산기 개발

탄소배출계산기 개발을 위해 ▲해외 탄소배출계산기(6개 주요국)* 항목 분석 ▲국내 제작 현장 방문(16개)을 통한 탄소배출원 분석 ▲계산 항목 적정성 검토를 위한 업계 의견수렴(508명 대상 설문조사)을 진행하였다. *독일, Co2-Rechner fur Film-und TV-Produktionen/ 프랑스, 카본클랩(Carbon’Clap)/ 미국, PEAR 탄소배출계산기/ 영국, 알버트 탄소발자국/ 벨기에, ScreenBrussels Eco-Filming/ 스위스, SWISS Co2-Calculator Film & Media

[탄소배출계산기 개발 연구 수행 절차]

방송영상 콘텐츠 제작 분야 탄소배출계산기는 방송영상 콘텐츠 제작 정보를 입력하고 제작단계별 △사전제작 △제작 △사후제작 단계로 구분하여 각 단계별 탄소배출원으로 구성하였다. 계산기는 엑셀 기반으로 탄소배출원 항목별 사용량을 입력하면 국내 배출계수를 적용하여 탄소배출량이 환산될 수 있도록 마련하였다.

[제작 단계별 탄소배출 계산 항목 구성]
제작 단계 항목
사전제작(pre-production) 1) 사무공간 에너지원 탄소배출원
2) 사무용품 탄소배출원
3) 쓰레기 배출 탄소배출원
4) 이동수단 탄소배출원
제작(production) 1) 스튜디오 에너지 탄소배출원
2) 장비 사용 탄소배출원
3) 사무공간 에너지 탄소배출원
4) 소품/자재 사용 탄소배출원
5) 케이터링(밥차) 탄소배출원
6) 이동수단 및 운송수단 탄소배출원
7) 숙소 이용에 대한 탄소배출원
8) 쓰레기 배출 탄소배출원
9) 재사용 가능한 기부 자재량
사후제작(post-production) 1) 사무공간 에너지 탄소배출원
2) 사무용품 탄소배출원
3) 쓰레기 배출 탄소배출원
4) 이동수단 및 운송수단 탄소배출원

「친환경 콘텐츠 제작 가이드북」「방송영상 콘텐츠 제작 분야 탄소배출계산기」는 국내외 콘텐츠산업의 사회문화적 환경 변화, 콘텐츠 제작 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애로사항과 사업 형태별 쟁점 사례 발굴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보완해나갈 것이며 ECO ACTION PROJECT 추진을 통해 국내 콘텐츠산업의 친환경 제작 확산을 위한 움직임을 본격적으로 전개해나갈 계획이다.

글. 이혜미(한국콘텐츠진흥원 미래정책팀 책임연구원)

* 「친환경 콘텐츠 제작 활성화 방안 및 실천 가이드북 마련 연구」와 「방송영상 콘텐츠 제작 분야 탄소배출계산기 개발 연구」 보고서는 12월 19일에 한국콘텐츠진흥원 누리집(www.kocca.kr)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