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자 : 권호영
권호영(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책임연구원)
인터넷 기술의 발전으로 인터넷 TV가 등장하고 인터넷 포털 사업자들도 동영상을 제공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서 지상파 방송사 등 방송사업자들은 인터넷TV 및 포털 사업자와 경쟁하게 되었다. 미디어 융합으로 인해서 관련 사업자들은 기회와 동시에 위협에 처하게 되었다.
지상파 방송사는 콘텐츠 제작자이자 서비스 사업자로서 기능을 해 왔는데, 콘텐츠 제작자의 측면에서는 융합을 보면 콘텐츠를 배급할 경로가 다양해짐으로써 수익기회가 다양해지는 OSMU(One Source Multi Use)를 향유하게 되지만, 서비스 사업자의 측면에서 보면 경쟁자의 증대로 인해서 수익기회가 잠식되고 있다. 케이블TV방송사들은 만들어진 채널을 가입자에게 배급하는 것이 주된 역할인데 인터넷TV의 역할과 바로 중복된다. 케이블TV방송사들은 디지털화에 막대한 투자를 하고 있는 입장에서 인터넷TV의 등장이 반가울리가 없다.
통신사업자들은 사람들의 음성을 전달해주는 서비스가 주요 사업이었지만 통신망이 디지털화하면서 데이터의 전달도 가능하게 되었고, 개인의 음성이나 데이터의 단순한 전달에 그치지 않고 정보나 오락을 제공하는 콘텐츠 서비스 사업자의 역할로 발전하였다. 앞으로 통신사업자도 원거리에 음성이나 데이터를 전달로 부터 얻는 수입보다 정보나 오락의 제공을 통해서 얻는 수입이 더 클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SKT와 KT가 콘텐츠 제작사를 인수하거나 제휴하고 있고, SKT는 미디어 기업이라고 선언하였다. 하나로텔레콤은 셀런TV를 인수하여 TV포털 사업을 본격화하고 있다.
네이버, 다음, 야후, 엠파스 등 포털업체들은 신문과 방송사들의 뉴스를 전달하는 수준을 넘어 자체 동영상과 기사를 서비스하면서 별도 광고 수익을 올리고 있다. 포털업체는 축적된 방대한 데이터 베이스와 수백만명의 이용자라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인터넷 방송의 활성화를 위해서 야후코리아와 다음커뮤니케이션은 해외 스포츠 경기 중계 판권을 확보하였고, 네이버는 강남구청과 제휴를 맺고 인터넷 수능방송 강의동영상을 제공한다. 지난 3월에 있는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 8강전 한국과 미국과의 경기를 TV로 시청한 사람은 140만명인 반면 야후의 인터넷 중계로 본 사람은 150만명에 달했다.
인터넷TV의 경우 한때 무수히 많은 인터넷 방송사들이 있다가 대부분 망하고 최근에는 성인용 오락물을 제공하는 사업자만이 있었지만, 최근에 영화와 인기 방송 프로그램으로 무장한 인터넷TV가 등장하였다. 곰TV, 나우콤의 아프리카, 판도라TV 등이 이들이다. 곰TV는 하루 300만명이 이용하는 곰플레이어에 50개 이상의 채널로 영화, 뉴스, 음악을 무료 또는 저렴한 가격에 제공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곰TV는 CJ미디어, YTN, MBC게임, ETN, 온게임넷 등 50여개 프로그램제공자 및 영화배급사등과 제휴했다.
마이클 아이스너 전 월트디즈니 최고경영자는 인터넷TV 회상에 투자했다고 알려졌는데, 이는 그가 인터넷TV의 성장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고 있음을 알려주는 것이다. 그리고 조만간에 이러한 인터넷TV를 컴퓨터가 아닌 TV를 통해서 볼 수 있을 것이다. 한동안 기술의 발전과 동떨어져서 상대적으로 안락하게 지내왔던 TV 서비스 업계는 변화의 큰 흐름의 한 가운데에 위치하고 있음을 실감하고 있다.
*본 칼럼은 미디어오늘 4월 26일자에 기고한 글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