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1년 해외 3D 방송 콘텐츠 제작 현황
2011. 8. 16
Overview
|
2011년에는 3D 방송 채널의 증가로 방송용 3D 프로그램 제작이 활성화된 가운데, 스포츠 생중계는
물론 다큐멘터리, 콘서트, 뉴스 분야로 장르가 다변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Briefing
2011년 제작 완료(혹은 예정) 해외 3D 방송 콘텐츠
o 2011년 들어서 소니(Sony), 디스커버리(Discovery), 아이맥스(IMAX) 3社의 조인트벤처 3D 채널 ‘3net1)‘과 24시간 3D 방송
채널 ’ESPN 3D‘ 등 시험방송을 진행해왔던 채널들이 개국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3D 방송 콘텐츠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제작
이 활성화 되고 있음


2011년 제작 해외 3D 방송 콘텐츠의 특징
o 3D 스포츠 중계가 3D 방송 대중화를 위한 성장 동인으로 부상한 가운데, 스포츠 부문 3D 콘텐츠 제작이 가장 활발한 것으로
나타남
- 제임스 카메론(James Cameron)과 빈스 페이스(Vince Pace)의 공동 출자 회사 CPG(Cameron-Pace Group)는 지난
2010년 US 오픈 테니스 대회 당시 6대의 퓨전카메라 시스템을 도입해 3D 입체촬영을 시도한 데 이어 올해 6월에는 NBA
파이널 경기를 3D로 중계해 호평을 받음
- 이외에도 소니가 제작해 BBC를 통해 생중계된 세계 4대 테니스 대회 중 하나인 윔블던(Wimbledon) 2011 챔피언십 결승전
은 공중파 최초의 3D 중계로 화제를 모았음
o 이 밖에도 3D 입체영상의 장점인 현장감과 생동감을 전달할 수 있는 다큐멘터리, 콘서트를 중심으로 콘텐츠가 제작되고 있음
- 영국 다큐멘터리 제작사 애틀랜틱 프로덕션(Atlantic Productions)이 제작한 ‘플라잉 몬스터 3D(Flying Monster 3D)'는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3D TV 프로그램 최초로 최우수 논픽션 프로그램 상을 수상하기도 했음
- 영국 위성방송사 스카이 (Sky)를 중심으로 락 페스티벌, 오페라 등 공연 영상물의 3D 생중계도 진행되고 있음
o 한편, 소니가 제작해 3net을 통해 방영한 ‘인더큐브 3D(In The Qube 3D)’는 업계 최초의 3D 엔터테인먼트 뉴스로 3D 콘텐츠
장르의 다변화를 시도한 사례로 평가받고 있음
Analysis
|
최근 3D TV가 가격 하락에 힘입어 보급을 확대해 나가고 있지만, 정작 3D TV로 시청할 수 있는 3D 방
송용 콘텐츠는 턱없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전문가들은 3DTV 방송 서비스가 정착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방송용 3D 콘텐츠의 최대 단점은 수익모델의 부재이다. 3D 방송
프로그램 제작에 더 많은 비용이 소요되지만, 이들이 더 많은 수익을 보장하지는 않기 때문이다. 특히
광고를 주 수입원으로 하는 지상파 방송에서는 추가적인 수익 확보가 매우 힘들다. 반면에 시청료가 수
익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유료 방송에서는 3D 콘텐츠가 해당방송의 차별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현
재 제작되었거나 혹은 제작 예정인 방송콘텐츠들은 대부분 ESPN, DirecTV, Sky와 같이 유료 방송사들
이 만들었거나 이들 유료 방송사에 납품되는 프로그램들이다. 또한 3D 방송 콘텐츠는 장르적인 측면에서
도 현장감이 중시되는 스포츠, 다큐멘터리, 공연 등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 2010년 팍스 어소시엇
(Parks Associates)이 미국 시청자들을 대상으로 3D 콘텐츠 선호 장르에 대해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1위가 영화, 2위가 쇼 프로그램, 3위가 스포츠, 4위가 다큐멘터리로 나타났다. 따라서 3D 방송이 정착되
기 전까지는 이러한 선호 장르를 중심으로 3D 제작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
Source
1. 언론사 발표자료, 해외 방송사 홈페이지
※ 아래에 원본 PDF 파일 첨부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