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D 영화‘혹성탈출: 진화의 시작’에 적용된 뉴질랜드 CG업체 웨타의 모션캡처 사례 분석
2011. 7. 25
Overview
|
뉴질랜드 CG업체 웨타(WETA)가 올해 8월 개봉을 앞둔 3D 영화 ‘혹성탈출: 진화의 시작(Rise of the
Planet of the Apes)’의 특수효과 작업에 참여했다. 웨타는 자체 개발한 이동형 모션캡처 장치를 통해 실제
배우와 디지털 캐릭터의 일체감을 높이는 데 주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
Briefing
웨타, 모션캡처 기술로 ‘혹성탈출’의 디지털캐릭터 ‘시저‘ 재현
o 뉴질랜드 CG업체 웨타는 2011년 8월 개봉을 앞둔 20세기 폭스(20th Century Fox)社의 3D 영화 ‘혹성탈출: 진화의 시작1)’의
특수효과를 담당

o 피터잭슨(Peter Jackson) 감독이 설립한 웨타는 ‘반지의 제왕(The Lord of the Rings)’, ‘킹콩(King Kong)’, ‘아바타(Avatar)’
등으로 아카데미상을 수상했으며, 특히 모션캡처 (motion capture)2) 기술에 정통한 것으로 평가됨
- '반지의 제왕 3: 왕의 귀환(The Lord of the Rings: The Return of the King)'에서는 20만 개 이상의 디지털 캐릭터를 제작,
그 중 ‘골룸’ 캐릭터는 300개가 넘는 근육과 관절, 250여 가지에 달하는 표정으로 관객들의 찬사를 받음
o 웨타는 ‘혹성탈출: 진화의 시작’에서 인간의 무분별한 동물 실험으로 지능이 높아진 유인원 ‘시저(Caesar)’ 캐릭터에 모션캡처
기술을 도입함
- 시저 역에는 ‘반지의 제왕(The Lord of the Rings)’의 골룸과 ‘킹콩(King Kong)’의 킹콩을 연기했던 모션캡처 캐릭터 전문배우
앤디 서키스(Andy Serkis)가 캐스팅됨

o 기존의 모션캡처는 배우들이 센서가 부착된 옷을 입고 세트장에서 연기를 한 후 여러대의 카메라가 설치된 특수 모션캡처
스튜디오에서 같은 연기를 반복하는 방식으로 촬영됨
- 그러나 이번 ‘혹성탈출: 진화의 시작’에서는 웨타가 자체 개발한 이동형 퍼포먼스 캡처 (portable performance capture3))
장치를 도입, 연기의 반복을 없앰으로써 디지털 캐릭터와 실제 배우의 일체감을 높일 것으로 기대됨
Analysis
|
모션캡처는 CG 영화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가상의 배우인 ‘디지털 크리쳐’ 의 구현에 적극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모션캡처 기술은 캐릭터의 리얼리티 향상뿐만 아니라 제작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측면에
서 각광받고 있다. 인간이나 동물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나타내는 데 모션 캡처만큼 효과적인 수단은 없다.
또한 애니메이터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CG 캐릭터의 동작을 지정하는 것보다 실제 배우의 움직임을 모션캡
처 기술로 재연하는 것이 훨씬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실시간 제어가 가능하고 복잡한 움직임도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어 최근에는 영화뿐만 아니라 방송, 광고, 게임 제작 분야에서도 선호되고 있다.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영상 콘텐츠의 제작이 늘어나고 있는 현 시점에서 향후 모션캡처 기술의 응용 범위는 더욱 확산될
것으로 예상된다. |
Source
1. Collider, 'Director Rupert Wyatt and Andy Serkis Talk About the Motion Capture Technology Used in RISE OF THE
PLANET OF THE APES', 2011. 7. 11
http://collider.com/rise-of-the-planet-of-the-apes-motion-capture-technology/101704/
2. Wall Street Journal, 'Motion-Capture Tech Moves Outside', 2011. 7. 18 http://online.wsj.com/article/SB10001424052702303661904576452210317361544.html
※ 아래에 원본 PDF 파일 첨부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