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D 콘텐츠, 학습 효과 증진에 기여’연구결과 발표
2011. 7. 18
Overview
|
미국 콜로라도(Colorado)주의 볼더밸리(Boulder Valley)시 교육위원회는 3D 콘텐츠가 학습 효과 증진
에 기여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2010년부터 2년간 실시한 시범 교육을 통해 3D 콘텐츠는 학생들의
집중력 향상 및 이해도 증진, 기억 지속시간 연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Briefing
미국 볼더밸리시 교육위원회, 3D 콘텐츠를 활용한 시범 수업 시행
o 미국 콜로라도 주의 볼더밸리 시 교육위원회(Boulder Valley School District)는 덴버 (Denver)에 위치한 레지스(Regis)
대학과 협력해, 2010~2011년 2년 동안 초중고 4개 학교 8개 학급을 대상으로 3D 콘텐츠를 이용한 시범 수업을 시행함
- 3D 콘텐츠는 더글라스(Douglass) 초등학교와 케이시(Casey) 중학교, 모나크(Monach) 고등학교, 할시언(Halcyon) 특수
학교에서 수학과 과학 수업에 활용됨
- 교육용 콘텐츠 제공은 디자인메이트(DesignMate)와 JTM 컨셉(JTM Concepts)을 포함한 사이버 아나토미(Cyber Anatomy),
어메이징 인터렉티브(Amazing Interactives)가 담당함
o 볼더밸리시 교육위원회 렌 스크로겐(Len Scrogan) 교육기술국장은 최근 올랜도 (Orlando)에서 개최된 '인포콤
2011(InfoComm 2011)' 컨퍼런스에서 시범 수업 결과를 발표함
- 연구결과, 3D 교육 콘텐츠는 학생들의 집중력 향상과 수업 참여도 및 이해도 증진, 기억 지속 시간 연장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남
o 3D 콘텐츠는 학생들의 집중력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어려운 주제에도 오랫동안 집중력을 유지(attention span)
하는 것으로 나타남
- 할시언 특수학교에서 진행된 시범 수업을 통해 일반 학생들보다 집중력이 약하고, 행동사고 등의 발생위험이 높은 특수학급
에서도 3D 콘텐츠 학습의 긍정적 결과를 확인했음
o 3D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참여도나 반응 또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남
- 수업에 참여한 고등학생들을 3D 대상으로 한 파일럿 테스트에서는 응답자의 76%가 기존의 전통적인 수업방식보다 3D 콘텐
츠를 활용한 교육을 선호한다고 대답함
o 3D 콘텐츠는 특히 추상적인 개념을 이해하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예를 들어 생물 수업에서는 3D 사진 및 입체
영상을 통해 세포 구조와 같은 추상적 개념 이해에 도움이 된 것으로 나타남
- 실제 3D 시범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은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세포와 관련한 생물시험에서 11% 이상 높은 점수를 얻었음
o 또한 스크로겐 국장은 3D 콘텐츠가 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기억 지속 시간 연장에도 기여한다고 덧붙임
-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3D 시범 수업을 통해 학습한 수업 내용을 2주 후에 기억하는 비율이 49%로 나타나, 일반
수업(30%) 대비 효과성이 입증됨
Analysis
|
3D 기술의 발달로 3D 콘텐츠의 적용 범위가 영화, 게임뿐만 아니라 의료, 교육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특히 3D 콘텐츠는 생생한 입체영상을 표현함으로써 학생들이 실제 현장에서 수업을 받는 것과 같은
‘몰입교육’에 큰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에서도 EBS가 2010년부터 ‘3D 입체교육영상 TFT’
를 발족하고, 기존 교육콘텐츠의 3D 전환과 3D 다큐멘터리 제작 등을 추진하고 있다. 다만 교육현장에
서의 3D 콘텐츠 활성화를 위해서는 3D 학습이 학생들의 건강에 미치는 유해성에 대한 조사와 개선방안
에 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전망된다. |
Source
1. eSchool News, 'Research: 3D content can help improve learning', 2011. 6. 22 http://www.eschoolnews.com/2011/06/22/research-3d-content-can-help-improve-learning/
※ 아래에 원본 PDF 파일 첨부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