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임의 영향력 : 국가별 참여를 넘어 세계적 도전으로

 |
▷ 이름 : 콘스탄스 스텐퀼러 (Constance Steinkuehler)
▷ 소속 : 위스콘신-메디슨 대학 교수, Games+Learning+Society 센터 이사 ▷ 세션 : 기조연설 |

▷ 강연자 프로필 Games+Learning+Society 센터의 공동이사이며 Wisconsin-Madison 대학교 디지털 미디어 학과의 부교수로 재임 중이다. 최근 美 백악관 과학기술국 수석 정책 특보로서 게임과 관련된 미국 국가적 계획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그녀의 연구는 일반 게임 및 기능성 게임을 통한 인지, 학습 및 문제해결에 집중하고 있다. 최근에는 집단지성을 통한 문제 해결, 리터러시, 디지털 리터러시, 비공식 과학적 추론 그리고 팝 코스모폴리타니즘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그녀의 연구는 맥아더 재단과 국립교육아카데미/스펜서(영국 철학자) 재단으로부터 지원을 받고 있다.
▷ 강연 목차 미국의 게임시장, 비디오게임의 행동유도성(affordance), 영향력있는 기능성게임 사례, 기능성게임 비즈니스 케이스 사례
▷ 강연 내용 요약 버락 오바마 대통령과 백악관은 기능성게임 개발에 대해 높은 관심과 긍정적 시선을 보이고 있다. 언어 교육용 게임인 ‘Cosmos Chaos’, 시민정신 및 정부 시스템에 대해 가르치는 ‘icivics’, 단백질 구조를 쉽게 연구할 수 있는 ‘Foldit’, 소아암 환우를 위해 개발된 ‘Re-Mission’ 등의 기능성게임은 기능성게임의 영향력과 비즈니스 케이스를 효과적으로 드러내는 사례다. 미국 정부는 게임을 무조건적으로 규제하기보다는 유용하고 건전한 신규 미디어로 육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 기능성게임 컨퍼런스 발제집 첨부(PDF)화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