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임 플레이어의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플레이어 모델 생성과 응용
 |
이름 : 윤태복 소속 : 성균관대학교 게임기술개발지원센터 / 연구원 트랙 : Programming |
강연자 프로필 2003년부터 산업자원부 지정의 게임기술개발지원센터에서 게임 인공지능을 위한 다양한 연구를 실시하고 있으며, 현재는 게임 플레이어의 모델을 생성하고, 이 모델을 활용한 지능적 게임 환경의 제공에 대한 기술과 온라인 게임 환경에서 플레이어들 간의 상호 관계를 보다 활성화 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중이다.
"퍼지 클러스터링을 이용한 사용자 적응형 게임 캐릭터의 구현",2004.5. "게임 인공지능의 이해와 응용", KGC2005, 2005.11. "DynamicFSM을 위한 사용자 모델링 방법",2006.5. "플레이어에 적응된 NPC와 군중의 지능적인 제어를 위한 게임 인공지능",KGC2006, 2006.11.
강연 목차 1. 게임 동향과 요구 2. 게임 플레이어 모델 생성과 모델간 관계성 3.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게임 플레이어 모델의 응용
강연 내용 요약 게임의 재미요소를 증진시키고, Lifecycle를 연장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현실감 있는 그래픽 효과와 사운드 기술 및 게임 장르의 혼합을 통한 새로운 게임 환경 서비스 등과 함께 플레이어들 간의 사회성을 반영한 게임 기술이 관심을 받고 있다. 온라인 게임의 특성상 플레이어들간의 상호 관계성은 게임을 지속적으로 즐기게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또한, MySpace, FaceBook와 같은 사회성을 이용한 SNS(Social Networking Service)의 등장은 온라인 게임에 새로운 경쟁 상대로 위협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게임 플레이어들의 요구와 SNS 고속성장, 이 두가지 요소는 온라인 게임 서비스의 새로운 페러다임을 가져오고 있다. 본 강연은 온라인 게임 환경에서 플레이어의 게임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플레이어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을 이야기하고, 생성된 플레이어 모델을 이용하여 게임의 동기 유발에 큰 요인으로 작용하는 사회 관계성을 증진 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한다.
* 본 영상은 2008년 11월 13일부터 15일에 개최된 "Korea Games Conference 2008" 에서 발표된 강연영상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