융합기술 관련 국내외 R&D 정책 동향
최근 기술 및 산업 간의 디지털 컨버전스로 고부가가치의 다양한 新산업이 등장하면서 ''융합''은 새로운 산업발전 패러다임으로 부각되고 있다. 이는 방송과 통신, 유선과 무선, 그리고 서비스와 기기간 융합 뿐만 아니라 IT 와 자동차, 조선, 의료, 국방, 건설 등 여러 이종산업간 융합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정부 차원에서도 전통산업에 IT 를 접목하여 고부가가치화하기 위해 조선등 주력 산업을 중심으로 IT 기술을 융합한 신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이처럼 ''신기술 분야의 상승적인 결합(Synergistic Combination)'', ''기존 산업의 창조적 파괴(Creative Destruction)''로 대변되는 융합기술에 대해 전세계적인 관심과 이의 획득을 위한 노력이 경주되고 있으며, 우리나라 또한 IT 신화 이후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발판으로 융합 기술 R&D 에 집중하고 있다. 융합新산업은 시장으로 활성화되기까지 불확실성 요인이 편재되어 있고, 기존 주력 산업의 융합화에도 장기간이 소요되는 특성으로 인해 정부주도의 R&D 가 특히 중요시 되는 분야이다. 불확실성에 대비하고 미래 수요에 기초한 탈추격형(post Catch-up) 추진전략이 요구됨은 물론, 융합 가능영역을 조기 발굴하고 필요한 정책을 사전에 진단하여 장단기 추진성과를 차별화 할 수 있는 맞춤형 정책마련이 필요하다. 본 고에서는 전세계적으로 초기 형성단계에 있는 융합新산업 육성의 정책 목표 구체화 및 정책대상에 대한 공감대 형성을 위해 2) 융합기술 관련 주요국의 R&D 정책 동향을 간략히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향후 융합기술 관련 정책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 목 차 -
1. 서론
2. 융합관련 주요국 R&D 정책 동향
3. 효율적 융합 R&D 추진을 위한 정책 방향
* 상세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세요.
※ 자료출처 : ITFIND 제350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