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
''Silicon Valley 최초의 단말기 기업(Silicon Valley''s first phone company)''을 표방하고 있는 Ribbit이 지난 12월 13일, Ribbit platform Release Party를 통 인터넷 전화(VoIP)와 플래시(Flash)가 결합된 VoIP 플랫폼을 출시했다. 웹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플래시와 VoIP의 결합은 PC산업과 통신산업간의 보다 밀접한 융합을 의미하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다양한 VoIP 애플리케이션의 개발 촉진과 저변 확대를 통해 새로운 형태의 Voice 2.0 서비스 출현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News Plus
새로운 모델의 VoIP 서비스 기업으로 주목 받고 있는 Ribbit은 2006년 설립 됐으며, 이번 플랫폼 출시 전에 이미 API를 공개해 VoIP 애플리케이션 개발자 사이에서는 새로운 개발 플랫폼으로서 큰 관심을 집중시켜 오고 있었다. Ribbit은 API 공개에서 새로 개발된 애플리케이션은 내년 상반기까지 웹 공표를 허용하지 않는 제약 조건을 두었다. 이러한 제약에도 불구하고, 600여명이상의 개발자들이 Ribbit의 API를 이용해 iPhone에서 작동하는 플래시 기반인터페이스(Adobe AIR iPhone)를 비롯해 각종 기업용 애플리케이션에 내장가능한 브라우저 기반 단말기 인터페이스를 개발하는 등 뜨거운 반응을 보였다.
기존 웹 단말기 애플리케이션 개발은 통신 관련 플러그 인(Plug-In) 기술에 대한 풍부한 지식과 경험을 가진 개발자만이 가능했으나, Ribbit의 개발도구는 플래시만으로 이를 구현할 수 있어 개발자들이 큰 관심 을 보인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플래시는 웹 기반 애플리케이션의 증가와 함께 웹 환경에 특화된 UI 개발툴 로서 크게 각광받고 있다. 기존 개발 툴의 경우 클라이언트/서버(C/S) 환경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웹 애플 리케이션 개발에 다소 한계를 보여왔다. 하지만 플래시는 대부분의 운영체계 및 각종 단말기를 지원3 하고 있어 활용 범위가 매우 넓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플래시로 구현된 UI는 용량이 작아 웹 애플리케이션 에 적합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외에 이미 전세계 3억 2,500만 대 이상의 PC에 플래시 플레이어가 설치 되어 있어 새로 설치해야 하는 부담이 없는 것도 큰 장점이다.
이처럼 플래시는 개발자의 편의를 극대화하면서 다양한 UI 구현 및 사용의 편리성까지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크게 주목 받고 있다. 이러한 개발자들의 뜨거운 반응과 함께 Silicon Valley의 Venture Capital 역시 Ribbit에 대해 관심을 보이고 있다. Ribbit은 2006년 10월 Alsop-Louie Partners를 통해 300만 달러의 자금을 유치한데 이어, 올 12월에 Allegis Capital과 KPG Ventures를 통해 1,000만 달러를 추가 유치하면서 새로운 개발 플랫폼에 대한 기대치를 높여가고 있다.
Figure 1. Ribbit의 API를 통해 개발된 플래시 기반 단말기 인터페이스
자료 : Ribbit 개발자 사이트, http://developer.ribbit.com
이러한 Ribbit의 플래시 기반 VoIP 서비스 5 는 Ribbit 외에 Gizmoproject의 Gizmocall6, 러시아 국적의 Flashphone7, 인도의 TringMe8 등이 거의 유사한형태의 서비스로 제공하고 있다.
Ribbit을 비롯한 이들 서비스들은 모두 별도의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PC에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플래시 플러그 인을 사용해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설치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회원 가입 없이도 VoIP 망의 SIP 계정을 이용해 로그인하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9 플래시를 통해 자동 으로 설치된 화면에서 사용자는 이름과, 전화번호, e-mail 주소 등을 입력하면 음성 메일(Voice mail), SMS서비스, 음성 통화 등을 무료로 이용할수 있다. Ribbit이 플랫폼 출시를 통해 전 세계 개발자를 대상으로 시장 공략을 강화하고 있는 것과 같이 여타 플래시 VoIP 기업들도 새로운 기능 및 지원 범위를넓히면서 시장 공략을 강화하고 있다.
Gizmocall은 최근 Nokia N800에서 이용할 수 있는 플래시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선보이면서, 매일 5분의 무료 통화와 무료 SMS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Flashphone의 경우 휴대전화 단말기에서 접속할 수 있는 페이지도 플래시로 제공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다른 사업자의 SIP 계정으로도 로그인할 수있는 기능을 추가했다. 이외에 TringMe는 지난 12월 3일 자사의 플래시 VoIP Widget을 대대적으로 업그레이드 한데 이어, 다양한 VoIP 사업자의 SIP 계정 지원 및 모바일VoIP 시장으로의 진출을 모색하고 있다. 플래시 VoIP 기업들이 복수의 SIP 계정 지원에 나서고 있는 것은 VoIP 사업자들을 대상으로 라이선스 판매를 위한 조치 로 해석되고 있다.
Figure 2. 새롭게 등장한 플래시 VoIP 서비스 유형
자료 : 각사 홈페이지
View Point
플래시 기반 VoIP 기업들은 무료 통화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Skype와 같은 전통적인 VoIP 기업, Jajah, Jaxtr와 같은 Social VoIP 기업들과 일부 경쟁 구도를 이루고 있다. 하지만 기존 VoIP 기업 및 Social VoIP 기업들과 비교했을 때 별도의 프로그램 설치가 불필요하고, 플래시의 특성상 새로운 기능 추가가 매우 용이하다는점에서 차별점을 갖고 있다. 보다 근본적인 차이는 비즈니스 모델에서 발견된다. 플래시 VoIP 기업들은 무료 통화 서비스 제공보다는 보다 용이한 애플리케이션 개발 툴의 제공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를 통해 VoIP 사업자에 대한 라이선스 판매나 각 기업콜 센터를 대상으로 좌석 기준 월 정액제 판매 등 을 주 매출 모델로 삼아갈 방침이라 기존 VoIP 기업들과는 비즈니스 모델 부분에서 큰 차이를 보이고있다.
Skype를 비롯해 최근 SNS 서비스를 기반으로 가파른 가입자 확보 속도를 보이고 있는 Social VoIP 기업들 은 낮은 수익성이 최대 고민거리며, 점차 음성광고 등 새로운 광고 모델을 통해 활로를 모색하고 있다. 이러한 의도는 이들이 제공하고 있는 각종 Button 서비스10에서 잘 나타나고 있으며, 이를 통한 광고 매출 에 수익이 좌우되는 비즈니스 모델을 취하고 있다. 이에 비해 Ribbit이나 TringMe 등의 기업들은 광고 수입 이 아닌 기업 대상의 라이선스 매출 및 정액 사용료 등을 주 매출로 가져가는 모델을 선보이고 있다.
Ribbit의 경우 API 및 애플리케이션 개발은 무료로 제공되나, 개발 제품의 상품화나 개인 사용자를 제외한 엔터프라이즈용 음성 애플리케이션에는 요금을 부과할 방침이다. 요금은 월 @AA@30 가량으로 책정하고 있으 며, 콜 센터의 경우 좌석 기준으로 별도의 요금을 적용할 방침이다.
TringMe의 경우도 자사의 TringPhone을 통해 VoIP 사업자들을 대상으로 기술 라이선스 판매를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여타 VoIP 사업자의 SIP 계정을 지원하고 있으며, 3G 데이터 네트워크 지원으로 Mobile VoIP 서비스 시장으로의 진출도 추진하고 있다.
결국 플래시 VoIP 플랫폼의 등장은 기존 개인 사용자를 중심으로 해 무료 통화 제공에 그치던 VoIP 서비스 가 기업용 시장으로 영역을 확장해 나갈 수 있는 새로운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실제 Ribbit은 현재 Salesforce.com의 CRM 애플리케이션에 플래시 VoIP를 삽입해 플래시 VoIP와 기업용 애플리케이션의 결합을 구현하고 있다. 이를 통해 Salesforce.com의 CRM 웹 화면에서 고객 정보 확인과 고객과의 통화가 동시에 지원된다. Ribbit은 통화 내역이 자동으로 CRM 시스템에 저장되는 기능을 추가 하고 있으며, 여타 기업용 애플리케이션과의 접목도 추진하고 있다.
Figure 3. 기업용 애플리케이션과 플래시 VoIP의 결합
자료 : Techcrunch
Ribbit의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플래시 VoIP 애플리케이션은 개발이 용이하고 사용자가 익숙한 인터페이 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업용 애플리케이션과의 접목이 기대된다. 이에 따라 VoIP를 둘러싼 수익 모델 역시 기존 광고 중심에서 라이선스 판매 및 월 정액제 등으로 다원화 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 이 글은 와의 협의에 따라 전재한 것 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