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CC(User Created Content) 혹은 UGC(User Generated Content)라 불리는 새로운 형태의 인터넷 콘텐츠가 지난 몇 년 동안 급속히 성장하며 주목받고 있다. 지난 호에서 다룬 온라인 비디오 콘텐츠 (통권258호 참고)의 하나로, 비디오 콘텐츠를 제작하는 전문 집단이 아닌 일반 인터넷 유저들에 의해 제작된 ''창의적인'' 노력이 들어간 비디오 콘텐츠뿐만 아니라, 창의적인 노력이 들어간 (비디오물이 아닌) 사진과텍스트 콘텐츠들까지 포함하는 UCC는 이를 기반으로 하는 인터넷 사이트들이 미국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10개의 사이트에 이름을 올릴 수 있게 하고 있다. MySpace나 Facebook 같은 social networking 사이트나 이미지 호스팅 사이트 ImageShack, 그리고 인터넷 백과사전 Wikipedia 같은 인터넷 사이트는 대표적인 UCC에 기반을 둔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이다.
그러나 현재 방송/통신 업계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곳은 자체 제작한 콘텐츠를 활용하여 비즈니스 하는, 즉 YouTube 같은 사이트로 거대 인터넷 검색 업체인 Google이 16억 달러를 투자하여 YouTube를 인수한 것만으로도 얼마나 비디오 UCC가 거대 비즈니스로 자리 잡고 있는지 보여주고 있다. 실제로, 몇 년 전만 해도 UCC는 ''브로드밴드 엘리트''라 불리는 소수 집단에 의해 향유되는 것으로 인식되었으나 현재는 초고속 인터넷 망, 즉 브로드밴드 망 가입자의 42% 이상이 UCC를 제작하고 업로드 하는 일련의 행위에 익숙해져 있고 이 숫자는 계속해서 늘어가고 있다. 특히 TV 시청 행태가 모바일로까지 확장되고 있는 지금 콘텐츠의 부족은 만성적인 문제이고, 따라서 미래의 개인화된 TV 시청 행태에 잘 맞는 UCC 콘텐츠들은 주목을 받을 수밖에 없다. 이렇게 UCC가 발전하게 된 계기들을 기술적 측면, 사회적 측면, 경제적 측면, 그리고 법적/제도적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리고 앞으로 극복해야 할 법적/제도적 문제점들과 향후 전망을 정리해 보았다.
기술적인 진보
UCC 활성화에 일조한 첫 번째 요인은 바로 인터넷 기술의 발전이다. 1990년대 중반부터 OECD 국가들 을 중심으로 가능해진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는 인터넷 유저들이 콘텐츠를 만들고 업로드 하고, 그리고 다운로드를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크게 이바지하였다. 특히 가정 내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의 활성화 가 UCC 확산의 주요인인데, 기존의 전화 모뎀을 이용한 인터넷 망으로는 고용량의 UCC를 자유롭게 만들고 소비하는 데 적절치 않았다. 이러한 측면에서 현재 미국에서 빠른 추세로 증가하고 있는 fiber- optic을 활용한 홈 네트워킹과 와이어리스 브로드밴드가 UCC에 적합한 새로운 형태의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로 주목받고 있다. 일터가 아닌 집에서 보다 진일보된 인터넷 서비스를 갖추게 된다면 영상물 위주의 UCC가 더욱더 활발히 제작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컴퓨터를 포함한 주변 기기의 성능이 비약적으로 향상되고 가격이 하락한 것도 UCC 제작이 활발 하게 된 기술적 측면의 이유 중 하나이다. 1990년 중반부터 지금까지 하드 드라이브와 플래시 메모리 등의 용량과 효율은 크게 개선되어 왔다. 또한 UCC 제작에 필요한 전자제품들,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와 캠코더, 그리고 디지털 모바일 폰의 성능은 크게 개선된 반면 가격은 하락한 것이 많은 사람들이 보다 쉽게 UCC 제작에 참여할 수 있게 만든 동력이 되었다. 특히 모바일 시장에서의 기술적 발전이 주목받고 있는데, 예를 들면 보다 빠른 대용량의 데이터 전송을 가능케 하는 새로운 모바일 폰 플랫폼인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는 모바일 폰 이용자가 사진이나 영상물을 모바일 폰을 통해 찍거나 제작하여 저장, 주변 사람들에게 보내거나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UCC 환경을 이루게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또 하나의 기술적 측면의 요인으로 UCC 제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의 발전을 들 수 있다. 요즘 개발되고 있는 UCC 전용 소프트웨어들은 전문적인 지식이 없이도 비디오‧오디오 콘텐츠를 제작하여 편집하고 업로드 할 수 있도록 제작되고 있다. 이러한 소프트 웨어들은 다양한 인터넷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UCC를 제작‧배포할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UCC 서비스를 기반으로 하거나 제공할 수 있는 인터넷 사이트와 플랫폼들의 등장을 들 수 있다. 특히 앞에서 언급한 YouTube나 MySpace 같은 인터넷 사이트들뿐만 아니라 새로운 비디오 콘텐츠 플랫폼인 IPTV (Inter- net Protocol TV) 서비스 역시 인터넷과 연동하여 기종의 UCC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UCC에 기반을 두고 제작된 게임 콘솔 기능 등을 제공하게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인터넷의 사회‧문화적 환경의 변화
1990년대 이후 인터넷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면서 인터넷 이용자의 속성 또한 변화하였다. 인터넷이 발전 하기 시작했을 무렵의 이용자들은 아날로그와 디지털 세대의 중간적 속성을 가지고 있었다. 아날로그와 디지털 문화 사이를 오가면서 적당히 디지털 문화를 반가워하면서도 두려워하는 속성을 보였다. 그러나 ''디지털 세대''로 불리는 12~17세 사이의 인터넷 유저들을 포함한 현재의 유저들은 초고속 인터넷 망을 기반으로 어느 정도의 ICT, 즉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술을 보유하고 적극적으로 인터넷에 접속하여 정보를 교환하고 공유하며 인터넷 커뮤니티를 만들고 유지하는 데 공헌하고자 하는 열망이 강하다. 이는 결국 인터넷 이용자들의 미디어 소비 성향을 바꾸게 되었다. 그리하여 나타난 결과물이 바로 UCC인 것이다. UCC는 현재 인터넷 콘텐츠의 주류가 되기 위해 서서히 이동하는 중인데 주된 사용 계층은 젊은 남성 early adopter들이다. UCC 연구들을 보면 인터넷에 비디오 콘텐츠를 제작한 사람의 4분의 3이 25세 이하였고, 86%가 남성이었다. 즉, UCC는 많은 사람들이시청하고는 있으나 적은 수의 사람들에 의해 제작되고 있었다. 하지만 전제적인 인터넷 이용 패러다임의 변화는 나이 많은 계층으로의 이용 확산을 기대할 수 있게 만들고 있다. 나이와 성별에 관계없이 인터넷상에서 정치적 연대를 이루거나 기타 상호 연결고리들을 만들어 나가는 현상들은 현재도 목격할 수 있다.
경제적 측면의 요인들
주지하다시피, 현재 미국에서 벌어지고 있는, 주로 미디어 융합(conver- gence)에 관련한 논쟁들 그리고 케이블‧위성‧통신 업계의 치열한 주도권 다툼 등은 모두 전통적인 미디어들에 대한 시청자들의 관심 감소가 결국 수익 감소로 이어질 것이라는 두려움에서 시작된 것이다. UCC 등장 초기에 미디어 산업 관계자들은 UCC를 경쟁 미디어의 하나로 보았다. 즉, 인터넷 이용자들이 기존의 미디어가 만들어 놓은 콘텐츠 기반을 이용해 새로운 콘텐츠를 제작‧이용하여 시청자를 감소시키고 광고수익을 감소 시키며 시청자들의 시청 행태를 더욱더 개인적이고 선택적으로 만듦과 동시에 심지어 불법적으로 그들의 콘텐츠를 사용한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한편으로 전통적 미디어들은 UCC 제작 흐름에 단순히 편승하기보다 UCC 서비스를 위한 설비에 투자하기 시작했고, 이는 미디어 산업과 그와 연관된 상업 광고주들에게 UCC가 새로운 수익창출의 창구가 될 수 있다는 희망을 갖게 하였다. 실제로 이러한 희망들은 UCC로의 많은 투자를 가능케 하였고 또한 UCC와 연관된 사이트나 서비스를 활성화시키려는 벤처 캐피탈(위험은 높으나 성장성이 높은 분야의 기업 활동에 투자되는 자본)의 증가를 불러오기도 했다. 실례로, 미국에서는 2006년 3/4분기의 벤처 캐피탈 펀딩의 규모가 2005년 3/4분기 대비 40% 이상 증가했었다.
법적‧제도적 측면의 요인들
인터넷 콘텐츠를 만들고 배포하기 위한 새로운 법적 장치 역시 UCC의 이용을 확산시키는 데 일조 하였다. 예를 들면 Creative Commons 라이선스 같은 유연한 라이선스 발급과 저작권 체계는 UCC의 제작과 복사, 배포 등의 활동을 보다 쉽게 만들었다. 강력한 검색 엔진들은 Creative Commons 라이 선스가 적용되는 사진과 비디오 그리고 다른 콘텐츠들을 쉽게 찾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였고, 인터넷 이용자들에게 이러한 소재들을 이용하여 기존의 UCC를 다듬고 업그레이드까지 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이렇게 콘텐츠 제작자에게 그 콘텐츠에 대한 권리를 인정해 주는 end-user 라이선스에 대한 합의는 UCC 확산의 주동력이 되었다.
UCC의 성공은 정부의 노력에 달렸다?
UCC의 갑작스러운 유명세는 여러 가지 새로운 논점들을 제시하였다. 특히 비즈니스와 연관된 제도적 장치들에 대한 검토와 지원이 UCC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중요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제도적 장치 와 관련한 주 이슈들을 나열해 보면 R&D의 강화, UCC 관련 기술의 지속적 발전, 차별 없이 경쟁이 가능한 시장 환경, 인프라에 대한 지속적 투자, 비즈니스와 규제 환경 등의 정비, 콘텐츠 제작자와 소비자로서의 정부의 역할 등을 들 수 있다.
현 시점에서 가장 이슈가 되고 있는 부분은 지적 재산권과 UCC에 관련된 것이다. 어떻게 ''공정이용정책 (fair use: 저작물 이용자가 저작권이 있는 정보나 지식을 적절하게 사용할 경우 사용에 따른 비용을 지불하지 않거나 저작권자에게 허락을 받지 않아도 되는 것)''과 기타 저작권에 관한 예외 조항들을 UCC에 적용할 것인가는 초기 UCC 확산에 있어 가장 큰 관심거리이다. 그리고 현재 UCC 플랫폼에 있는, 잠재적으로 ''불법적으로'' 올려진 수많은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 채무 문제와 DRM(digital rights management)이 적용될 경우 발생할 영향에 대한 논의도 중요한 이슈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다른 인터넷 서비스들에서도 지적되고 있는 문제들로, 개인의 사생활 보호에 대한 이슈도 제기되고 있다. 어느 정도의 적당한 익명성은 창의성 있는 UCC의 제작을 장려할 수 있다. 특히 정치적인 내용을 담은 패러디물의 경우 더욱 그러할 것이다. 그러나 만약 UCC가 불법적인 내용을 담고 있거나 국가나 기업의 보안에 위협이 될 경우, 또는 피해를 줄 목적으로 타인의 신상을 적나라하게 공개하게 된다면 결국은 제재가 필요하게 될 것이다. 현재 일부 UCC 사이트는, 닉네임 등으로 올려지고 있는 UCC들은 제작자나 이용자들을 필수적으로 기입하게 되어 있는 학교 이름이나 직장 이메일 주소 등을 통해 파악할 수 있게 하고 있고, 보안 등의 목적으로 일부 기관에서는 UCC 이용을 제한하고 있다.
이 시점에서 정부가 과연 UCC 같은 서비스의 확산을 지원해야 하는가, 그렇다면 어떻게 지원해야 하는가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왜냐하면 시장의 경쟁력 유지는 FCC 같은 기구들의 핵심 고려 사항이고, 그렇기 때문에 UCC가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고 각 미디어 기업과 광고주들 그리고 궁극적으로 이용자들에게 이익을 가져다줄 수 있는가에 대한 결정은 향후 법적‧제도적 장치를 만들기 휘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특히 FCC가 디지털 전환에 못지않게 신경을 쓰고 있는 모바일 분야에서 2012년 모바일 UCC의 수익이 2007년의 열 배가 되리라는 전망이 있는 지금 UCC에 대한 더욱더 세밀한 시장조사와 법적‧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할 이유는 충분하다.
● 참고 - Nielsen NetRatings. (2006). User-generated content drivers half of U.S.top 10 fastest growing Web brands, according to Nielsen NetRatings. Retrieved September 3, 2007 from http://www.nielsen-netratings.com/pr/PR_060810.PDF. - OECD. (2007). Participative Web: User-created content. Working paper. - PR Web. (2007). ReportL Mobile user-generated content revenue to rise tenfold by 2012. Retrieved September 3, 2007 http://www.twenty-twelve.net/article.cfm/id/206778.
● 작성 : 이양환(사우스캐롤라이나 대학 박사과정, yanghwanlee@gmail.com)
출처 :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동향과분석 2007년 제14호(통권 259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