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신개념 무료음악 스트리밍 서비스의 연이은 대박행진
□ 지는 유료 음악서비스와 뜨는 무료 음악서비스
디지털 음원시장의 폭발적 성장을 견인해오던 10대들의 소비취향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음. 실제로 유료 음악서비스에서 무료 음악서비스로 이동하는 움직임이 감지됨. 2009년 4월 시장조사업체 NPD그룹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08년 미국의 10대(13∼17세)들이 음악을 듣는데 소비하는 비용은 1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유료로 음악파일을 다운로드한 건수는 2007년에 비해 13% 감소하고, CD 구입은 26%나 감소했음. 10대들이 엔터테인먼트에 지출한 총 비용은 2007년보다 24% 줄어든 것으로 나타남. 이는 곧 유료 디지털음원시장이 2008년을 기점으로 하락곡선을 나타내고 있음을 의미함 이처럼 유료 음악서비스가 급격히 쇠락하고, 무료 음악서비스가 부상하는 가장 큰 이유는 판도라라디오, 마이스페이스, 아이밈(iMeem) 그리고 최근 큰 인기를 얻고 있는 신개념 무료 스트리밍 서비스 스포티파이(Spotify)까지 다양한 무료 음악서비스가 등장했기 때문임 NPD그룹 조사에 의하면 유료 음악시장의 감소세와 상반되게 인터넷 라디오, SNS 등에서 음악을 듣는 10대는 크게 늘었음. 구체적으로 인터넷 라디오의 경우 2007년 34%에서 2008년에는 52%로 늘었고, 마이스페이스 같이 공짜로 음악을 들려주는 SNS를 이용하는 10대는 26%에서 46%로 증가했음. 위성 라디오를 통해 음악을 듣는 10대도 19%에서 31%로 늘었음 하지만 이러한 무료 음악서비스의 폭발적인 성장이 불법복제나 유통을 부추기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남. 즉, 무료 음악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들이 합법적인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하였기 때문에 업체와 소비자 모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었던 것으로 평가됨 실제로 10대들이 P2P사이트에서 음악을 다운로드한 건수는 전년에 비해 6% 감소했으며, CD를 복사하거나 PC 하드드라이브에 저장하기 위해 친구로부터 CD를 빌리는 것도 2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무료 음악서비스는 스트리밍 음악에 광고를 연계하는 방식으로 새로운 수익을 창출하고 있으며, 광고를 원치 않는 소비자는 일정 금액을 지불하는 방식으로 수익을 다양화하고 있음. 이 같은 무료 음악서비스는 유료 음악시장의 요금체계까지 변화시키고 있음. 유료 음악시장의 선두주자 애플 아이튠스도 2009년 4월부터 현행 획일화된 곡당 0.99달러 정책에서 인기곡은 1.29달러, 그렇지 않은 곡은 0.69달러까지 낮추며 차별화하고 있음
2)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의 화려한 부활, <스포티파이(Spotify)>
□ 신개념 무료 스트리밍 서비스의 첨병
최근 광고기반의 무료음악 스트리밍 서비스가 중단되거나 무료에서 유료화로 전환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음. 온라인 광고시장의 침체가 가장 큰 원인임. 이미 미국에서는 스프이럴프로그(Spiralfrog)와 러커스 네트워크(Rukus Network) 등이 서비스를 중단했으며, 라스트FM(Last.FM)은 부분적인 서비스 유료화를 단행하였음 이러한 가운데 스웨덴의 무료스트리밍 서비스 스포티파이(Spotify)가 각광을 받기 시작했음. 스포티파이(Spotify)는 2006년 스웨덴 스톡홀름에 있는 스포티파이AB(Spotify AB)에서 개발되었음. 스포티파이는 프리웨어로써 웹사이트에서 바로 다운받아 사용할 수 있음. 여기서 제공되는 곡들은 음반사들이 라이선스하여 합법적으로 제공하고 있어 불법복제 및 유통을 원천적으로 봉쇄함 스포티파이에서는 광고를 기반으로 하는 무료 스트리밍 서비스와 광고가 없는 프리미엄 서비스 9.99유로에 제공됨. 광고의 경우, 30분 사이마다 30초짜리 광고만 들으면 무료로 서비스를 받을 수 있음. 하지만 만약 광고를 원치 않는다면 월 9.99 유로를 지불하고, 프리미엄 사용자로 등록하면 됨. 스포티파이는 곡 파일을 인터넷을 통해 제공하는 것을 기본으로 함. 스포티파이는 서버 기반의 스트리밍과 이용자 간에 대한 피어 P2P 기술을 조합하여 사용하고 있어 신개념 무료 음악서비스로 평가받고 있음. 곡 파일은 온 디맨드(on demand)로 플레이됨. 따라서 이용자는 마치 본인 PC에 곡이 있는 것과 같이 음악을 감상할 수 있음. 곡 파일들은 같은 곡을 스트리밍을 받고 또 받고 할 때의 자원 낭비를 막기 위해 클라이언트 컴퓨터상에 캐시됨 스포티파이는 영국을 비롯해 스웨덴, 노르웨이, 핀란드, 프랑스, 스페인에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며, 영국, 프랑스 등 국가의 IP 주소에서만 무료이용이 가능함. 스포티파이는 기본적으로 초대에 의한 회원 가입제 방식이며, 영국에서는 2009년 2월부터 자유 가입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음. 또한 영국, 프랑스, 스페인에 국한돼 있지만 음악을 듣다가 마음에 들면 즉시 구입할 수 있는 링크도 제공됨. 스포티파이는 스트리밍 서비스 개시 이후 10개월 만에 약 400만 명에 달하는 회원이 서비스에 가입했으며 그 가운데 절반이상이 영국인임. 음악을 듣기 위해서는 전용 클라이언트를 다운로드 받아야 함. 스포티파이는 무료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이용자들이 스트리밍 서비스를 받은 음악파일을 다운로드 받고자 한다면 이에 따른 비용은 추가로 지불해야 함. 즉 음악 다운로드 서비스의 경우에는 기존과 같이 유료로 제공되고 있음
□ 안정된 음원공급과 모바일 버전으로 인기와 투자 확보
스포티파이에서 제공되는 모든 음원들은 EMI, 유니버설(Univesal), 소니(Sony) BMG 등의 음반사들과 공식적으로 계약을 맺은 정식음원이며, 스트리밍서비스임에도 음질 또한 비교적 훌륭함. 스포티파이는 380만 곡 가량의 음악을 제공하고 있는데, 이는 주요 음반사와의 공급 계약 때문에 가능한 것임. 2008년 스포티파이는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소니BMG 뮤직, 유니버설뮤직, 워너뮤직, EMI 등과 계약하면서 음반사들에게 낮은 가격에 회사주식 일부를 매각했음. 그리고 이와 같은 행동에는 안정적인 음원 공급이 목적으로 분석됨 스포티파이는 최근 기업으로부터 대규모 투자를 받으면서 주목을 받고 있음. 이처럼 기업들이 스포티파이에 투자를 하는 이유는 정식으로 음반사들과의 계약을 맺고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찾아볼 수 있음 음반사와의 정식계약으로 최근 가장 이슈화되는 저작권 문제를 원천적으로 봉쇄했다는 것을 가장 큰 이유로 들 수 있음. 메이저 음반사로부터 안정적으로 음원을 공급받을 뿐만 아니라 음원이용에 대한 정당성을 동시에 확보했기 때문임. 스포티파이와 손을 잡은 음반사들은 서비스 제공방식이 다운로드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자신들에게 돌아올 피해가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파악하고 있음 한편, 스포티파이는 서유럽 지역의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을 기반으로 2009년 하반기에는 미국과 캐나다의 북미시장을 공략할 것이라는 계획을 발표했음. 특히 스포티파이는 2009년 아이폰용 애플리케이션으로 나와 모바일에서도 이용이 가능함. 또한 아이폰용 애플리케이션 보다 한발 앞서 안드로이드용이 나왔으며 이와 같은 적극적인 모바일 시장 공략은 투자자들의 호감을 높이는데 일조함
□ 스포티파이, 심플한 인터페이스와 다양한 기능
스포티파이는 다른 음악스트리밍 서비스와 유사한 방식으로 실행프로그램을 설치해야함. 윈도우즈와 맥을 동시에 지원하고 있으며, 아이튠즈와 매우 흡사한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음. 하지만 속도 면에서 비교해 보았을 때 아이튠즈보다 훨씬 월등한 속도를 보이고 있으며, 스포티파이가 아이튠즈보다 활자가 크고 디자인이 더욱 깔끔하게 구성됨 스포티파이를 통해 음반을 검색하면 아티스트에 대한 간단한 소개와 비슷한 성향의 아티스트, 최고 히트곡, 앨범들 등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음. 이는 아이튠즈와 매우 유사한 형태로 정보가 제공되지만, 전곡을 무료로 들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음 아이튠즈와 같이 아티스트에 대한 바이오그래피 역시 제공되며 이는 올뮤직가이드(All Music Guide)에서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내용 면에 있어서도 동일함 아티스트 라디오(Artist Radio)는 검색한 아티스트와 비슷한 성향의 아티스트 리스트를 보여주고, 그들의 음악만 라디오 형식으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함. 이는 비슷한 노래를 검색해주는 뮤직커버리(Musicovery) 또는 판도라(Pandora)의 서비스와 유사함. 스포티파이 라디오(Spotify Radio)는 원하는 장르를 선택하고 년도를 기간으로 선택해주면 그 기간에 해당하는 장르의 곡들만 라디오로 들을 수 있음. 또한 이용자가 라디오에서 들으면서도 원하는 곡을 자신의 플레이리스트에 저장하는 것이 가능함. 스포티파이에서는 이용자가 원하는 음악과 음반앨범의 링크를 자신의 플레이리스트에 추가할 수 있으며 다른 이용자와 자신의 음악을 공유할 수 있음. 또한 콜레보레이티브 플레이리스트(Collaborative Playlist)를 만들면 여러 명의 이용자들이 플레이리스트를 동시에 편집할 수 있는 기능도 있음 이용자 간의 피드백이 가능하기 때문에 음악 보유량도 방대함. 이용자는 메이저 음반사들의 거의 모든 곡들에 접근할 수 있으며, 레퍼토리는 계속 추가되고 있음. 또한 장르, 음악가, 앨범, 발매년도 등을 가지고 검색할 수 있어 편의성을 극대화하였음. 이를 바탕으로 이용자들은 재생 목록을 만들 수도 있고, 다른 사용자와 공유할 수 있음. 뿐만 아니라 재생목록에 대한 링크를 직접 드래그 해 인스턴트 메신저나 전자우편 윈도에 끌어다 놓을 수도 있음. 메시지 수신자나 전자우편 수신자가 링크를 클릭하면 수신자의 스포티파이 클라이언트가 재생 목록을 다운로드하는 방식임. 여기서 재생 목록 링크는 일반 링크가 사용되는 식으로 쓰일 수 있음
3) CCL 기반 무료 음악다운로드 서비스, <자멘도(Zamendo)>
□ 새로운 음악유통 서비스
자멘도(Jamendo)는 온라인 네트워크에서 음악 콘텐츠를 유통하는 서비스로 유럽 최대 음악공유 웹사이트로 성장한 곳임. 자멘도에 올라온 MP3는 사이트에 가입한 이용자라면 누구나 이용이 가능하도록 오픈되어 있음. 원하는 곡 또는 앨범 전체를 다운로드 받거나 웹사이트 내에서 감상할 수 있는 합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자멘도에서는 172,041개의 음악들에 CCL(Creative Commons License)를 적용하여 무료로 음악파일을 다운로드 받거나 스트리밍 서비스를 받는 것이 가능함. 서비스 이용자들이 음악파일을 합법적으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것은 저작권자인 가수, 작곡가, 연주자 등 아티스트들의 허락이 있었기 때문임. 자멘도이 보유하고 있는 모든 곡과 앨범 등 콘텐츠에는 CCL을 적용했으며, 저작권자인 아티스트나 앨범 기획사가 직접 CCL 조건을 선택해 붙이도록 했음. 만일 해당 음악콘텐츠가 ‘저작자 표시-비영리’(BY-NC) 조건이라면 MP3 음악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시 저작자를 반드시 표기하고 상업용도로는 쓰지 않는 조건으로 이용이 가능함 이와 같이 자멘도는 음악 MP3파일을 무료로 배포해주거나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가로 뮤지션들의 홍보와 마케팅을 담당해 줌. 자멘도의 창업자는 실바인 짐머(Sylvain Zimmer)이며 이색적인 아이디어로 가지고 2004년 자멘도 서비스를 시작했음 2007년 7월 자멘도는 스카이프 초기투자자였던 맹그로브 캐피털 파트너(Mangrove Capital Partner)로부터 가능성을 인정받고 투자받기 시작하면서 자멘도의 서비스는 재 전환점을 맞게 됨. 이와 함께 자멘도의 웹사이트 디자인이 새롭게 개편되고 다양한 서비스를 추가했음. 2007년 말 자멘도는 3,100개의 앨범이 등록되고, 8개의 언어로 서비스가 제공되면서 유럽에서 가장 커다란 플랫폼으로 성장했음 2008년에는 위젯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유튜브, 마이스페이스, 페이스북, 트위터 등에서 위젯을 이용해 자멘도 음악을 감상할 수 있게 됐음. 2009년도 11월 13일에는 페이스북에 자멘도 어플리케이션이 제공되기 시작했음. 2009년도에는 자멘도가 씨넷이 선정한 ‘2009년 톱100 웹사이트’에서 음악부문 1위를 차지했음. 자멘도는 60여 개국에서 수집된 2만6천개 앨범, 16만개가 넘는 트랙을 보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유명 팝스타의 곡에서부터 접하기 어려운 제3세계 음악까지 장르의 스펙트럼 역시 매우 다양함
□ 자멘도의 비즈니스 모델
자멘도 사이트는 이용자들이 음악콘텐츠를 상업적으로 이용하지 않는다는 조건 하에 무료 스트리밍서비스와 다운로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기본적으로 자멘도는 아티스트들의 수익창출을 목적으로 하고 있음. 무료로 음악콘텐츠를 제공하는 것도 이를 통한 홍보, 마케팅 효과를 전제하고 있는 것임. 이와 같이 자멘도는 상업적인 목적이 아닌 디지털 음악콘텐츠가 올바른 유통이 되도록 구성된 것이기 때문에, 음악 아티스트들이 거부감이 없이 자신의 음악콘텐츠를 제공하기 시작한 것임 자멘도에서는 라디오, 위젯, 동영상, 어플리케이션 등을 활용하여 이용자들이 가수, 연주자, 음악가들의 노래 및 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다양한 채널 확보하고 있음. 또한, 자멘도는 이용자들이 음악판매 또는 가수, 연주자 등 아티스트들을 직접 후원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이용자들이 상업적으로 음악을 이용할 시에는 결제서비스를 제공함. 다시 말해 자멘도는 개인이용자들에게는 음악을 무료로 배포하고, 음악콘텐츠를 이용하기 원하는 기업이나 단체에게는 음악제공에 대한 이용료를 받고 있음. 이에 대한 수익은 해당 아티스트나 음반기획사와 절반으로 분배함. 아티스트에 대한 이용자들의 재정적인 후원은 100% 아티스트가 받게 되며 자멘도는 이에 대한 일정 수수료만 받는 것임 2009년 ‘자멘도 프로(Jamendo pro)’란 새로운 수익모델을 제시했음. 이는 음악을 상업적인 목적에 사용을 하거나 영화 등에서 사용하는 경우가 해당되며, 1곡당 약 3달러 정도 지불하도록 되어있음. 즉 레스토랑이나 호텔, 주차장 같은 공공장소에서 자멘도 음악을 이용할 시에는 이에 해당하는 이용료를 지불해야하며, TV나 음악스튜디오에서도 자멘도에서 음악을 이용할 경우에는 여기에 해당하는 이용료를 지불해야 함
4) 음악산업의 새로운 비즈모델, 번들링
□ 새로운 디지털혁신의 실험장이 되고 있는 음악산업
전 세계 음악산업은 LP와 테이프 같은 아날로그 매체에서 중간기착지인 CD 그리고 최근의 디지털음원을 재생하는 MP3 플레이어와 같은 음악을 담아내는 매체의 발전과 함께 그 진화를 거듭해 왔음 음악산업은 이제 음반사에서 규격적으로 찍어내는 테이프와 CD같은 물리적 형태를 지닌 상품에서 음원, 벨소리, 홈페이지의 배경 음악 등 물리적 형태가 없는 디지털 포맷으로 진화되면서 더욱 다양한 사업 카테고리로 확장되고 있음. 특히 최근 10년간 디지털 음악계에서는 혁신적이고 진보적인 서비스들이 등장했음. 온라인 음악의 포문을 연 넵스터(Napster)와 카자(Kazaa)는 음악 P2P서비스의 새로운 장을 열였다는 평가임. 하지만, 불법 다운로드를 횡행하게 했다는 비판에서도 자유롭지 못했음 2009년 새롭게 런칭한 애플의 아이튠즈는 99센트로 각 곡을 합법적으로 다운로드 할 수 있게 만들면서, 불법 다운로드에 대한 논란을 불식시켰음. 아이팟은 소니신화의 주역인 ‘워크맨'' 이후 가장 인기 있는 휴대용 음악플레이어로서의 위치를 굳건하게 지켜나가고 있음. 마이스페이스는 인디, 마이너 뮤지션들에게는 새로운 활력소가 되었으며, 이들의 창작콘텐츠를 기반으로 한 음원제공 서비스가 인기를 얻었고, 그들 뮤지션들은 음악을 홍보하고 소셜 네트워킹을 통해 광범위한 네트워크에 도달할 수 있게 되어 소위 메이저 뮤지션으로 성공할 수 있는 기회도 제공해 주었음. 이제 온라인 음악 서비스는 ‘웹 2.0’시대를 맞아 이제는 무료 음악 검색서비스(Pandora) 등의 새로운 비즈모델로도 진화하고 있음
□ 新산업영역과의 결합, 음악Biz의 키워드는 번들링
다양한 분야에서의 번들링(Bundling)이 이제 음악산업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되고 있음. 음반사들은 침체기에 빠진 음악산업계를 회복시키기 위해 동분서주하고 있는데, 결국 이러한 동력원을 가치사슬 내의 다양한 파트너들과의 제휴를 통해 찾게 되었고, 그 제휴의 결과가 번들링 비즈니스의 형태로 나타나고 있는 것임 그 첫 번째 분야는 바로 게임과의 제휴임. 특히, 최근 비틀즈가 가지고 온 번들링 효과는 가히 폭발적이라고 할 수 있음. 영국 4인조 록 밴드 비틀즈(The Beatles)는 탈출구가 보이지 않았던 2009년 하반기 음반 시장의 활황을 재현 시키는 동시에 게임, 출판 심지어 경매 시장까지도 들뜨게 만드는 특수 효과를 주도하고 있다는 세간의 평가임. 게임업계에서 특히 이러한 효과가 컸는데, 리듬액션 게임인 ‘비틀즈: 록밴드 The Beatles: Rock Band’에서는 비틀즈 음원의 디지털다운로드를 최초로 시도하는 전략을 감행함 애플리케이션과의 합종연횡도 가능한 번들링 모델임. 예컨대, 아이튠즈 LP (version 9)그 사례가 될 수 있음. 아이튠즈를 통해서 단순히 하나의 음악 파일만 듣는 것이 아니라, 마치 자신이 좋아하는 아티스트의 앨범 하나를 샅샅이 볼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음. 음악도 들을 수 있고, 가사가 음악과 함께 나오고, 보너스 트랙 개념의 비디오, 코멘터리 등도 볼 수 있고, 앨범에 삽입한 사진들도 볼 수 있음. 이는 음악을 다른 여러 미디어 방식의 콘텐츠와 함께 즐길 수 있는 새로운 스타일임 네트워크 사업자의 결합 번들링(유무선 서비스의 가입자 대상 무료 무제한 음악서비스의 제공), 광고와의 결합(판도라 등 인터넷 스트리밍 서비스들이 채택하고 있는 모델로서 광고를 듣는 조건으로 무료 음악 제공) 등 다양한 번들링 비즈니스가 가능할 것임. 이들 번들링 비즈니스는 바로 침체되는 음악산업이 새로운 회생의 길을 모색할 수 있는 중요한 전략적 터닝 포인트가 될 수 있을 것임
An Implications ▪ 전 세계 음악시장에는 다양한 형태의 무료 음악서비스가 등장하면서 해당 시장의 성장이 두드러지게 나타남 ▪ 스포티파이는 이용자가 무료/유료 서비스를 직접 선택해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서비스 만족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 또한 안정적인 온라인 음악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매우 독보적인 존재임 ▪ 자멘도는 국내에서는 도입되지 않은 형태의 온라인 음악서비스이지만 유럽에서는 큰 성공을 거두었음. 하지만 국내 음악시장 특성을 반영한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분석 ▪ 침체된 음악산업시장을 재활성화 시키는 모범답안으로 번들링 서비스가 주목받고 있음. 이는 고객의 다양화된 가치를 충족시킬 수 있는 음악산업계의 新비즈모델로 등장함. 앞으로 국내에서도 다양한 번들링 모델이 활성화 될 것으로 전망됨. 특히, 이용자들을 합법적인 음원 구매 시장으로 이끌어낼 수 있다는 점에서 업계와 정부 의 관심과 정채적인 지원이 필요함
◎ 참고자료 ◎
Internet Marketing News(2009. 4. 20). Spotify to open up targeted online marketing opportunities. http://www.clickthrough-marketing.com/Spotify-to-open-up-targeted-online-marketing-opportunities/19131303/ ITProPortal(2009. 4. 28). Spotify Now Has One Million UK Subscribers. http://www.itproportal.com/portal/news/article/2009/4/28/spotify-now-has-one-million-uk-subscribers/ Neowin(2009. 5. 2). Spotify review: The iTunes killer? http://www.neowin.net/news/software/09/05/02/spotify-review-the-itunes-kill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