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통계브리핑] 국내 콘텐츠산업의 사업형태별(업종별) 성장성 분석 | ||||||
---|---|---|---|---|---|---|---|
분류 | 기타 | 조회수 | 0
|
||||
출처 | 한국콘텐츠진흥원 | 등록일 | 12.10.11 | ||||
■ 국내 콘텐츠산업의 사업형태별(업종별) 성장성 분석 ■
여기서는 한국표준산업분류와 콘텐츠산업분류를 연계하여 매칭시킨 후, 산업별/업종별 매출액 증감률을 비교해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먼저 콘텐츠산업의 매출액 연평균증감율(2008년~2010년)을 특수분류의 대분류 기준으로 살펴 본 결과, 가장 크게 매출액이 증가한 산업은 게임(15.1%)이며, 다음은 지식정보(14.0%, 5%이상 6개 업종), 영화(10.0%, 5%이상 7개 업종), 방송(9.3%, 5%이상 3개 업종), 콘텐츠솔루션(8.5%, 5%이상 6개 업종), 캐릭터(7.5%, 5%이상 4개 업종), 음악(6.6%, 5%이상 7개 업종), 애니메이션(5.5%, 5%이상 3개 업종), 광고(5.3%, 9개), 만화(1.3%, 5%이상 3개 업종), 출판(0.5%, 5%이상 5개 업종) 순으로 나타났다.
<표 1> 출판산업과 만화산업의 사업형태별 매출액 연평균증감률(2008년~2010년) 비교
※출처: 문화체육관광부(2012), ⌜2011 콘텐츠 산업통계⌟를 재구성
음악산업에서 가장 높은 연평균증가율을 보인 업종은 “인터넷 음악서비스업”(33.9%)이며, “인터넷 음반 소매업”(30.5%)도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반면 가장 큰 감소세를 보인 업종은 “인터넷/모바일 음악 콘텐츠 제작 및 제공업”(-41.9%)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이유는 mp3와 같은 음원을 다운로드받아 듣는 것이 일반화되어 멜론, 소리바다, 엠넷과 같은 인터넷 음악서비스와 인터넷으로 음반을 판매하는 인터넷 음반 소매업이 성장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과거 피쳐폰 위주의 모바일 음악 서비스는 이동통신사와 음원을 제공하는 콘텐츠제공자(CP)들이 주도했으나, 2008년부터 스마트 디바이스의 보급이 확대된 이후 구조가 변화되면서 “인터넷/모바일 음악 콘텐츠 제작 및 제공업(CP)”의 매출액이 하락하기 시작했다.
<표 2> 음악산업 사업형태별 매출액 연평균증감률(2008년~2010년) 비교
※출처: 문화체육관광부(2012), ⌜2011 콘텐츠 산업통계⌟를 재구성
영화산업에서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인 업종은 “영화제작, 지원 및 유통업”(13.8%)이며, 가장 높은 감소율을 보인 업종은 “DVD/VHS 제작 및 유통업”(-24.1%)이었다. “온라인 상영”을 제외한 모든 소분류에서 매출액의 큰 감소세가 나타난 이유는 IPTV 및 온라인 상영 서비스의 확대에 따라 DVD/VHS의 구매 및 대여가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또한 애니메이션 산업에서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인 업종은 “애니메이션 창작 제작업”(16.3%)이며, 가장 높은 감소율을 보인 업종은 “온라인 애니메이션 서비스업(인터넷, 모바일)”(-20.4%)으로 나타났다. 최근 국내 애니메이션 창작/제작의 매출액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하청제작은 감소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애니메이션 총량제 도입으로 창작 제작자들의 의욕이 고취 되었으며, 중국의 하청 제작 비중이 높아지면서 국내 하청제작시장이 위축됐기 때문이다.
<표 3> 영화산업 및 애니메이션산업 사업형태별 매출액 연평균증감률(2008년~2010년) 비교
※출처: 문화체육관광부(2012), ⌜2011 콘텐츠 산업통계⌟를 재구성
방송산업에서 가장 높은 매출액 증가율을 보인 업종은 “IPTV”(83.4%)이며, 반면 가장 높은 감소율을 보인 업종은 “중계유선방송”(-11%)이었다. 이는 KT의 QOOK, SK의 브로드밴드와 같은 IPTV 가입자 수의 폭발적인 증가와 이에 따른 유선방송 가입자 수의 감소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광고산업에서 가장 높은 매출액 증가율을 보인 업종은 “이벤트”(61.8%)이며, “마케팅·리서치”(51.5%)도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이는 고객의 요구가 다양해지고 다양한 상품이 존재함에 따라 마케팅 활동을 보다 면밀하게 분석하거나 판매촉진을 위한 적극적인 고객유치 행사를 하는 사업체가 많아지고 있음을 시사해준다.
<표 4> 방송, 광고, 캐릭터산업 사업형태별 매출액 연평균증감률(2008년~2010년) 비교
※출처: 문화체육관광부(2012), .2011 콘텐츠 산업통계.를 재구성
지식정보산업에서 가장 높은 매출액 증가율을 보인 업종은 “포털 및 기타 인터넷 정보 매개 서비스업”(18.3%)이며, e-learning에 관련한 모든 소분류들에서 증가세를 나타냈는데, 연평균 6.2%~11.9% 성장률을 나타냈다.
<표 5> 지식정보산업 사업형태별 매출액 연평균증감률(2008년~2010년) 비교
※출처: 문화체육관광부(2012), ⌜2011 콘텐츠 산업통계⌟를 재구성
이와 같이, 콘텐츠산업분류에 따른 세부 업종별(소분류) 연평균(2007~2010년) 매출액 증감율 분석에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매출액이 증가한 업종의 비율은 기획·제작업이 62.5%(20개), 유통업이 67.6%(25개)로 나타났으며, 매출액이 감소한 업종의 비율은 기획·제작업이 37.5%(12개), 유통업이 32.4%(12개)로 나타났다. 즉, 기획·제작업과 유통업에서 연평균 매출액이 증가한 업종은 유통업이 다소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감소한 업종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게임산업은 기획·제작업으로 분류하지 않고 기획·배급업으로 분류가 되어있어, 본 분석에서 제외되었으며, 콘텐츠솔루션 또한 기획·제작업의 분류대신 기술 분류를 사용하고 있어서 제외되었다.
둘째, 연평균 매출액 증감률을 20%를 기준으로 구분하여 분석해 본 결과, 기획·제작업에서 큰 폭으로 증가한 업종은 영화제작지원(27.7%), 광고인쇄(29.4%), 광고제판(50.6%), 온라인광고대행(25.3%)으로 나타났으며, 유통업에서는 인터넷음반소매업(30.5%), 인터넷음악서비스업(33.9%), 영화투자조합(69.4%), 온라인상영(24.1%), 마케팅·리서치(51.5%), 이벤트(61.8%) 총 7개 업종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큰 폭으로 감소한 업종은 기획·제작업에서는 인터넷/모바일 음악 콘텐츠 제작 및 제공업(41.9%), DVD/VHS 제작(21.1%), 온라인 제작(23.3%), 공간 디자인(50.2%), 온라인 광고기획·전략대행(57.6%), 온라인 광고제작(57%)로 총 6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통업에서는 모바일 음악 서비스업(20.5%), DVD/VHS 도매(40.8%), DVD/VHS 소매(39.3%), DVD/VHS 대여(28.6%), DVD/VHS 상영(40.5%), 온라인 애니메이션 서비스업(20.4%), 온라인 매체대행(53.7%), 기타(장비취급 등)(59.6%)으로 총 8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1] 콘텐츠산업 사업형태별 매출액 연평균증감률(2008년~2010년) 분포
※출처: 문화체육관광부(2012), ⌜2011 콘텐츠 산업통계⌟를 재구성
※ 아래에 원본 PDF 파일 첨부합니다.
|
|||||||
첨부파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