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개 지역별 게임 뉴스
(유럽/CIS, 미주, 중화권, 일본, 중동, 동남아시아, 기타)

지역별 주요 단신

[유럽/CIS] 마인크래프트, 글로벌 테마파크 계약으로 현실 세계로 진출

마인크래프트(Minecraft)가 1억 1천만 달러 규모의 글로벌 테마파크 계약을 체결하며 가상 세계를 넘어 현실로의 진출을 본격화했다. 이번 계약은 영국과 미국을 포함한 주요 국가에서 테마파크를 운영 중인 멀린 엔터테인먼츠(Merlin Entertainments)와 이루어졌으며, 마인크래프트의 상징적인 블록 세계를 놀이기구와 체험형 시설로 재현할 예정이다. 테마파크는 마인크래프트 팬들에게 게임 속 장소와 캐릭터를 현실에서 직접 체험할 기회를 제공하며 놀이기구, 인터랙티브 전시, 교육 프로그램 등 다양한 콘텐츠를 포함할 것으로 알려졌다. 멀린 엔터테인먼츠는 “마인크래프트는 전 세계에서 사랑받는 브랜드로, 이를 통해 방문객들에게 혁신적이고 몰입감 있는 경험을 선사할 것”이라고 밝혔으며, 게임 IP의 새로운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인수 이후, 마인크래프트는 교육 프로그램, AR/VR 콘텐츠 등으로 영역을 넓혀왔으며, 이번 테마파크 프로젝트도 이 같은 방향의 연장선으로 해석된다.

[중화권] 골든 조이스틱 어워드, <검은 신화: 오공> 올해의 궁극의 게임상 수상

2024년 11월 21일, 42회 골든 조이스틱 어워드에서 <검은 신화: 오공>이 올해의 궁극의 게임상(Ultimate Game of the Year)을 수상하며 글로벌 게임 시장에서 중화권 게임의 위상을 높였다. 중국 개발사 게임 사이언스(Game Science)가 제작한 <검은 신화: 오공>은 고전 문학 서유기를 바탕으로 독창적 스토리와 언리얼 엔진 5를 활용한 혁신적인 그래픽을 선보이며, 전 세계 게이머들의 찬사를 받았다. 이번 수상은 중국 게임 개발사의 기술적, 예술적 성과를 보여주는 사례로, 중화권 게임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입증한 중요한 이정표로 평가된다. 특히, <검은 신화: 오공>의 성공을 통해 중국 문화 콘텐츠가 세계 시장에서 더욱 주목받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게임 사이언스는 "세계 무대에서 중국의 스토리와 문화를 알릴 기회를 얻게 되어 영광"이라며 감사의 뜻을 전했다.

[일본] 오랫동안 기다려온 닌텐도 박물관, 교토에 오픈

2024년 11월 6일, 일본 교토에 닌텐도 박물관이 공식적으로 문을 열었다. 닌텐도 박물관은 회사의 130년 역사를 아우르는 전시와 체험 공간을 통해 게임 팬들에게 잊을 수 없는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닌텐도 박물관은 초기 카드 게임 제작 시절부터 최신 게임 콘솔에 이르기까지 닌텐도의 진화 과정을 다루며, 희소한 제품과 미공개 자료를 포함한 다양한 전시품들이 소개된다. 박물관은 교토 우지시(宇治市)에 위치한 닌텐도의 옛 공장을 개조해 조성되었으며, 방문객들은 닌텐도 제품의 개발 과정과 게임 디자인의 철학을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을 만날 수 있다. 닌텐도 측은 이번 박물관이 "닌텐도의 유산을 기념하며, 전 세계 팬들과 함께 소통할 수 있는 플랫폼"이 될 것이라 밝혔다. 이번 박물관 오픈으로 닌텐도는 브랜드 가치를 더욱 강화하고, 일본 게임산업의 역사를 널리 알리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미주] 미국 최대 비디오 게임 노조가 파업에 돌입하다

미국 최대 비디오 게임 노조인 제니맥스 노동자 연합(ZeniMax Workers United)이 2024년 11월 13일 파업에 돌입했다. 제니맥스는 엘더스크롤(Elder Scrolls)과 폴아웃(Fallout) 같은 유명 타이틀을 제작한 베데스다(Bethesda)를 포함해 여러 스튜디오를 소유한 회사로, 현재 마이크로소프트의 자회사다. 이번 파업은 임금, 근로 조건, 복지 개선을 요구하며 시작되었으며, 노조 측은 임금 불평등 해소와 비정규직 노동자들에 대한 복지 확대를 주요 요구사항으로 제시했다. 또한, 회사 내 성과 평가 체계의 투명성을 요구하며, 더 나은 노동 환경 조성을 위해 마이크로소프트가 적극적으로 개입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반면, 회사 측은 파업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대체 인력을 투입하고, 협상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전문가들은 이번 파업이 게임업계 전반에 미칠 파급 효과를 주목하고 있다. 그동안 게임 개발자들은 프로젝트 중심의 강도 높은 업무와 낮은 안정성으로 어려움을 겪어왔으며, 이번 사건이 업계의 구조적 변화를 촉진하기를 기대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가 파업을 어떻게 해결할지에 따라 게임업계에서의 노동 문제에 대한 새로운 기준이 마련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이번 파업은 중요한 전환점으로 간주되고 있다.

[중동] 메락 캐피탈, MENA 게임 스타트업 위한 8,000만 달러 펀드 출시

사우디아라비아 기반의 투자 회사 메락 캐피탈(Merak Capital)이 MENA(중동 및 북아프리카) 지역 게임 스타트업 지원을 위해 8,000만 달러 규모의 펀드를 출시했다. 이 펀드는 지역 내 신생 게임 기업의 성장을 촉진하고, 글로벌 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되었으며, 기술 개발, 콘텐츠 제작, 비즈니스 확장 등 다양한 분야에 투자할 계획이다. 메락 캐피탈은 중동의 게임 시장이 급속히 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현지 기업들이 세계 무대에서 경쟁력을 확보하도록 돕고자 한다고 밝혔다. 특히 모바일 게임과 e스포츠와 같은 유망 분야를 집중적으로 지원하고, 지역 창작자와 개발자들이 혁신적인 게임을 선보일 수 있도록 투자 자원을 제공할 예정이다. 해당 펀드 출시로 중동 게임산업의 발전과 경제적 다각화를 더욱 가속화할 것으로 보이며, 사우디아라비아가 비전 2030의 일환으로 엔터테인먼트 및 기술 산업을 강화하는 전략을 추진하는 가운데, 메락 캐피탈의 행보는 이러한 국가적 목표와 부합한다는 점에서 더욱 주목받고 있다.

[동남아시아] 베트남, 게임 시장 규제 강화하는 법령 시행

베트남 정부가 시행한 법령 147/2024/ND-CP으로 인해 게임 시장에 미칠 영향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해당 법령은 게임 라이선스 발급 절차와 외국 기업의 진입 요건을 강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특히 청소년 보호를 위한 게임 시간 제한과 유해 콘텐츠 규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법령에 따라 모든 게임은 철저한 콘텐츠 심의를 거쳐야 하며, 외국 기업은 현지 파트너와 협력해야만 라이선스를 획득할 수 있다. 이는 국내 게임 산업을 보호하고, 청소년 유해 콘텐츠 문제를 해결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그러나 규제 강화로 인해 글로벌 게임 기업들의 접근이 어려워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법령 147이 베트남 게임 시장의 질적 향상에 기여할 가능성은 있으나, 동시에 외국 기업의 진입 장벽을 높여 시장 성장 속도를 둔화시킬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베트남은 동남아시아 내에서 게임산업이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시장으로 꼽히고 있으나, 이번 법령이 시장 구조를 어떻게 변화시킬지에 대해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참고문헌
  1. The Guardian. (2024. 11. 19). Minecraft theme park deal signals bold move into real-world attractions.
  2. Inverse. (2024. 11. 13). Bethesda strike: How ZeniMax union members took a stand against Microsoft.
  3. Wccftech. (2024. 11. 21). Winners announced at 42nd Golden Joystick Awards: Black Myth: Wukong wins Ultimate Game of the Year.
  4. Attractions Management. (2024. 11. 06). Long-awaited Nintendo museum opens in Kyoto.
  5. Pocket Gamer. (2024. 11. 18). Merak Capital launches $80 million fund to support MENA games start-ups.
  6. Niko Partners. (2024. 11. 19). Vietnam’s Decree 147/2024 and its impact on the national gaming mark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