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콘텐츠지식

KOCCA 포커스

[KOCCA포커스 통권 164호] 버추얼프로덕션(VP) 활용, 국내 콘텐츠산업의 친환경 제작 확산 방안
  • 분야일반
  • 장르일반
  • 등록일2024-05-10
  • 조회665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 가능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창작한 저작권 통계 이용 활성화를 위한 통계 컨설팅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통권 164호 2024. 05. 10 KOCCAFOCUS | 버추얼프로덕션(VP) 활용, 국내 콘텐츠산업의 친환경 제작 확산 방안 | KOCCAFOCUS | 한국콘텐츠진흥원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로고) | 버추얼프로덕션(VP) 활용, 국내 콘텐츠산업의 친환경 제작 확산 방안 | 이 혜 미 한국콘텐츠진흥원 콘텐츠산업정책연구센터 미래정책팀 책임연구원 leehm0818@kocca.kr | SUMMARY | 콘텐츠업계 특화된 기후행동, VP! | • 기후변화에 대한 심각성 확대로 기업의 ESG 도입을 요구하는 제도가 시행됨에 따라 이에 대응하기 위한 기업들의 기후행동 본격화 • 콘텐츠제작과정의 주요 탄소배출원은 ‘이동’으로 촬영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함 • 이에 글로벌 주요 스튜디오는 로케이션을 최소화해 탄소배출량을 저감할 수 있는 방안으로 버추얼프로덕션 활용 친환경 콘텐츠 제작 방안을 채택하고 있음 버추얼프로덕션의 친환경 효과 | • 버추얼프로덕션은 기존의 제작 방식 대비 ▲물리적 이동 최소화 ▲에너지 효율화 ▲폐기물 발생량 저감 ▲작업시간 단축의 측면에서 탄소배출량을 저감할 수 있는 친환경 제작 방안이라 할 수 있음 | 정책 지원을 통한 버추얼프로덕션 활용 친환경 제작 확산 방안 | • 본고에서는 콘텐츠분야 글로벌 기후위기 대응 사례를 토대로 콘텐츠업계 특화된 친환경 제작 방안으로서 버추얼프로덕션을 제시하고 국내 VP 활성화를 위한 정책지원 방향으로 ▲업계 이해도 증진 및 인식 제고 ▲데이터체계 구축 ▲에셋 라이브러리화 ▲공공스튜디오 운영 ▲인력양성을 제언함

※ 자세한 내용은 첨부(PDF)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담당부서미래정책팀 담당자박수진 문의전화061-900-6576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