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콘텐츠지식

KOCCA 포커스

[KOCCA포커스 2014-01호] 중국 방송 시장과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의 성장
  • 분야일반
  • 장르콘텐츠솔루션
  • 등록일2014-06-27
  • 조회30419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 가능 한국저작권위원회가 창작한 저작권 통계 이용 활성화를 위한 통계 컨설팅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중국 방송 시장과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의 성장 I. 중국 방송 시장의 성장
II. 중국 영상 콘텐츠 규제 강화
III. 중국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및 이용 현황
IV. 중국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의 성장이 한국 방송 시장에 미치는 영향  


중국 방송 시장과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의 성장



윤재식 / 정책연구실 산업정책팀 수석연구원



요약

 

● 2012년을 기준으로 중국 방송시장은 173억 5,400만 달러의 규모로, 2017년까지 연평균 11.5%의 성장을 하여 2017년에는

    298억 8,800만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 중국에서 운영되는 모든 방송사는 중국 정부의 허가를 받아야 하며, 편성 및 방송 내용에 각종 규제 및 제한을 받고 있음. 이에

    따라 최근에는 상대적으로 제약을 받지 않는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업체(유쿠투도우나 소후 등)가 인기를 끌기 시작하였음.
- 중국 내 방송 편성을 위해서는 사전 심의를 거쳐야 함
- 해외 프로그램의 프라임타임대 편성 금지, 영화 및 드라마는 방송시간의 25% 이내, 그 외 프로그램은 15% 이내로 편성이 제한됨.
- 포맷 수입의 경우 연간 1개 이내로 제한되고, 방송 2개월 전 사전 신청을 해야 함.

 

● 까다로운 규제로 인해 방송 콘텐츠의 중국 수출이 더딘 상황에서 최근 국내 업체들은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을 통해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었음.

 

● 중국의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 시장은 2013년 128억 위안(약 2조 2,161억 원)으로 전년 대비 41.9%의 급속한 성장을 보였으며,

    2017년에는 366억 위안까지 성장할 것으로 기대됨.
- 중국의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 시장의 급속한 성장은 대부분의 중국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 업체들이 국내외 영화와 드라마, 기타

    TV 콘텐츠의 판권을 구매해 광고를 기반으로 한 무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임.
- 또한,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의 경우 방송사보다 정부의 규제가 상대적으로 덜하기 때문에 다양한 콘텐츠들의 업데이트가 빠르고,

    모바일 기기를 통한 시청도 지원하기 때문에 방문자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향후 몇 년 간 이러한 고성장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됨.

 

● 2012년 12월부터 2013년 11월까지 PC와 모바일앱을 통해 온라인 동영상을 시청하는 이용자수를 비교해 본 결과, PC 이용자

    들의 경우 0.5%의 증가를 보여 큰 변화가 없었으나, 모바일앱을 통해 온라인 동영상을 이용한 이용자들의 경우 72.9%의 증가를

    보였음.

 
● 중국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 이용자들은 온라인 동영상 사이트를 선택할 때 콘텐츠가 풍부한지, 화질이 좋은지, 안정적인 속도가

    나와 시청 도중 끊김이 없는지 등을 주로 고려하였음.
- 이중, 고화질과 재생 속도는 사용자 경험과 관련된 것으로, 동일한 인터넷 접속 환경이라면 큰 차이가 없을 것이므로,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 선택에 있어 결정적인 요인은 콘텐츠의 확보 여부임.


※ 자세한 내용은 첨부(PDF)화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담당부서미래정책팀 담당자박수진 문의전화061-900-6576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시나요?